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해장에는 모과차

반응형

술 마시고 속 쓰린데 좋은 모과차

 

 


가을 시골길을 향기롭게 하는 것이 두 가지 있으니 하나는 모과요, 하나는 탱자이다. 한두 개 구하여 서재에 놓으면 청향이 방안에 충만하니 이 아니 운치스러운가. 또한 이 두 가지가 모두 약이나 차의 재료로도 유용하니 더욱 좋다.

 

 

모과는 광택 있는 황금색도 멋이 있지만 독특한 향기가 일품이다. 모과를 식물학적으로 따지자면 1) 추피모과 2) 광피모과 3) 일모과의 3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산출되는 것은 광피모과에 해당되는 것이며 본초학상으로는 명자라는 것이다. 원래 중국에서 모과라고 하는 것은 추피모과인데 이 두 가지는 모든 성질이 비슷하고 다만 모양이 명자는 꼭지 부분이 밋밋한데 비하여 중국 모과는 젖꼭지 모양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 것을 유난히 명자라고 할 필요도 없이 그냥 모과라고 하면 된다. 대만에서 파파야라는 열대 과일을 속칭 목과라고 하는데 이것은 우리의 모과(한방의 모과)와는 다름에도 혼동한 책들이 있다.

 

동의보감 의 모과 및 명자의 기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모과는 토사곽란 후에 다리에 쥐가 내리는 것을 고치며 음식 소화를 촉진하고 설사 뒤 갈증 나는 것, 가슴 치밀어 오르는 것, 각기, 수중다리, 구역질 등을 다스리고 담을 삭이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고 다리 힘이 약한 것을 고치지만 산기가 많아서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치아와 뼈가 오히려 약해진다. 철기를 접촉시키지 말 것이며 구리 칼로 껍질과 씨를 없애고 얇게 저며서 볕에 말려 두었다가 사용한다. -동의보감
(우리 가정에서 얇게 저민 것을 설탕에 재워 두었다가 차를 끓이는데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명자와 모과는 약효가 대동소이하며 주독과 이에 따르는 메스꺼움이나 속쓰린데 등에 좋아서 술을 많이 마실 수 있게 하며 냄새가 향기로우면서도 매워 옷장에 넣어 두면 좀벌레가 죽는다는 것이다.

 

눈으로 보아 좋고, 향기로워 냄새 좋고, 차로 끓여 마시면 주독을 푼다니, 이래저래 풍류객들이 사랑할 만한 것이 모과가 아닐까 한다.

 

 

담, 설사에 특효  모과차


<동의보감>에 모과의 약효를 기재하는 가운데, 중국 의학 문헌의 인용이 아니고 우리나라에서 전해 내려오고 있는 속방을 소개하고 있는 것을 보면 모과를 꽤 중요시한 것과 당시 민간요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모과는 담을 삭이고 가래를 멈추는 데 모과전을 만들어 복용하는 것이 좋다. 모과전은 담을 다스리고 비위를 이롭게 하는데, 만드는 방법은 모과를 푹 쪄서 씨를 빼고 살을 찧어 으깬 뒤 체로 걸러서 꿀, 새앙즙, 죽력(청죽을 태울 때 흘러나오는 진액)을 섞어 끓여서 만든다. 하루에 3~4차 큰 숟갈로 하나씩 복용한다."


한의학에서 담이라고 하는 개념은 병인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기, 혈과 아울러 3대 요인의 하나로 치는 것이지만 현대 병리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하는지가 문제이다. 체내의 수분대사와 관련시켜 비생리적인 체액이나 분비물을 좁은 의미에서 담이라고 하고 그것이 울체되면 여러 가지 병이 생긴다는 것이다. 속칭 흔히 "담이 결린다"라고 하는 것도 그런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모과의 성분으로는 능금산, 전화당, 설탕, 점액 등이 들어 있고 잎, 가지, 뿌리에는 타닌, 아미그달린(잎에 함유되어 있음)등이 증명되고 있는데, 능금산에 지갈, 청량 작용이 있는 정도와 임상적으로 설사를 멈추고 이뇨작용이 있는 정도는 알려져 있으나 그 이상의 과학적 근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아 안타깝다.

 

"모과나무 가지의 잎을 달여 마시면 곽란이 멈추고, 넣고 끓인 물로 다리와 발을 씻으면 다리 힘이 약해서 비틀거리거나 쓰러지는 것을 다스린다."

 

비타민이나 합성약품이 고도로 발달되어 있는 시대에 꼭 모과 달인 물이라야 각기를 고친다는 법은 없지만 농촌의 지역사회에서 자기 고장의 천연물로써 병을 고치고 예방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