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통을 해결해 주는 달맞이꽃 종자유
아주 먼 옛날, 그리스에 달을 사랑하는 님프가 있었다. 다른 님프들은 모두 별을 사랑했지만, 달을 사랑하는 님프는 별이 뜨지 않은 밤에 달과 사랑을 속삭이고 싶어했다.
달을 사랑하는 님프의 마음을 알아챈 다른 님프들은 유별난 그 님프에게 화가 나서 제우스 신에게 이 사실을 일러바쳤다. 그러자 노여움이 치솟은 제우스 신은 이 님프를 달도 없고 별도 없는 먼 곳으로 쫓아 버렸다. 달의 신 아데미스가 이 사실을 전해 듣고는 쫓겨난 님프를 불쌍히 여겨 밤이면 밤마다 높이 떠올라, 그 님프를 찾아보았다.
그렇지만 이것마저 못마땅해진 제우스 신은 구름과 비로 하늘을 가려 달의 신이 님프를 찾을 수 없도록 방해하였다. 결국 달을 볼 수 없게 된 님프는 점점 여위어, 끝내 이루지 못항 사랑 때문에 병들어 죽고 말았다.
달의 신이 님프를 찾아냈을 때는 이미 님프는 숨을 거둔 뒤였다. 님프가 숨을 거둔 그 자리에는 꽃 한 송이가 곱게 피어났는데, 이 꽃이 바로 달맞이꽃이다.
애절한 마음으로 달을 따라 피는 꽃, 그래서 달맞이꽃의 꽃말은 '기다림'이다.
그래서인지 달맞이꽃의 이름은 어느 나라고 모두 비슷하다. 달맞이꽃의 일본 이름은 월견초이고, 중국 이름은 야래향이며, 미국 이름은 나이트 프림로즈(night primrose)다. '프림로즈'는 형용사로 '연한 황록색의'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달맞이꽃의 생태와 빛깔을 아주 잘 표현한 이름이라 할 수 있다.
달맞이꽃의 약리작용
다 자란 달맞이꽃은 키가 1미터 가량 되며, 뿌리는 굵고 단단하다. 잎의 길이는 6~9센티미터 가량 되고, 넓이는 1.5~3센티미터 가량 되는데, 저녁이면 노란 꽃이 피었다가 아침이면 시든다.
영국에서는 달맞이꽃을 킹즈 큐어 올(King's cure all)이라고 부른다. '왕의 만병통치약'이라는 이 이름에는 달맞이꽃의 신비로운 약리작용이 잘 드러나 있다.
달맞이꽃에서 추출해 낸 종자유에는 인체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지방산인 감마 리놀렌산이 듬뿍 들어 있어, 고혈압과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아주 좋은 약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 전부터 달맞이꽃을 활용하여 각종 염증 질환과 종양 등을 다스려 왔는데, 혈관을 확장하고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항혈전작용을 하므로, 월경이 불규칙하고 생리통이 심한 여성이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진통제를 남용하기 쉬운 월경통
월경 사나흘 전쯤에 나타나는 여러 정신적, 육체적 장애를 월경전증후군이라 한다. 월경을 하기 전에 우울증에 빠지거나 신경질이 많아지거나 물건을 훔치는 것도 일종의 월경전증후군이다. 월경전증후군으로 신체 나타나는 증세로는 유방통, 아랫배 동통 등이 있으며 헛배가 부르거나 피로가 심해지기도 한다. 흔히 나타나는 증세로 가볍게 보아 넘길 수도 있지만 월경전증후군에 계속 시달리다 보면 생리가 절로 그치거나 월경곤란증을 앓을 수도 있다.
월경곤란증이 바로 흔히 말하는 월경통이다. 자궁근육이 아주 심하게 수축하거나 자궁내막과 자궁근 안의 혈관이 경련을 일으킬 경우, 또 정서가 몹시 불안할 때는 월경통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자궁이 제대로 발육하지 못하였거나 골반 안이 충혈되었을 경우에도 고통스러운 월경통이 찾아온다. 그렇지만 월경통이 몹시 심하여 견디기 어렵다 해도 원인을 무시한 채 진통제나 진해제, 지혈제 등을 함부로 남용해서는 안된다.
월경통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턱대고 이런 약들에 손을 댈 것이 아니라 체력이 쇠약해지지 않도록 관심을 기울이고, 습관성 변비증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며,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식사를 해야 한다. 그리고 월경 중에는 섹스를 하지 않는 편이 낫다.
한방에서는 월경통이 참기 어려울 만큼 심하고 체력이 허약할 때 팔보곤순환을 처방한다.
팔보곤순환은 익모초 600그램, 당귀, 백작약(술에 적신 것), 우슬(술에 적신 것) 갂 150그램, 인삼(우유에 반죽하여 증기로 찐 것), 숙지황, 생지황, 백출, 천궁, 오약, 황금, 향부자 각 80그램, 석곡, 자소엽, 감초 각 40그램, 목향, 사인 아교 각 30그램, 치자 20그램, 백복령 240그램을 섞은 뒤 가루를 내어 40그램 가량 되는 알약으로 빚은 다음 금박지를 씌워 두었다가 아침, 점심, 저녁으로 2알씩 빈속에 따끈한 술로 복용하는 처방으로 치료 효과가 아주 뚜렷하다.
월경통의 증세
월경통은 증세에 따라 명칭이 다르고 처방도 다르다. 월경과 함께 열성 질환이 발병하거나 온몸의 골관절이 쑤시고 아픈 증세를 경행신통이라 하고, 허리나 하복부 등에만 통증이 생기는 경우를 경행복통이라 한다.
월경을 할 때 온몸에 통증이 생기는 경행신통을 앓으면서, 뼈가 가늘고 근육이 풍부한 여성은 오적산가미방을 쓰고, 같은 경행신통이라 하더라도 뼈가 굵고 근육이 적은 여성은 사물탕가미방을 쓴다. 오적산가미방은 창출 8그램, 마황, 진피 각 4그램, 후박, 길경, 지각, 당귀, 건강, 백작약, 백복령 각 3그램, 천궁, 백지, 반하, 계피 각 2.8그램, 감초 2.4그램, 생강 3쪽, 총백(파의 흰 뿌리) 3대, 도인, 홍화 현호색 각 2~4그램 등이 들어가는 처방이다. 그리고 사물탕가미방에는 당귀, 천궁, 백작약, 생지황 각 8그램, 황금, 황련 각 4그램, 도인, 홍화 각 2그램이 들어간다.
또 월경통에 시달릴 때마다 신경질이 유달리 심해지는 경우에는 향부자 12그램, 오약, 진피, 소엽 각 4그램, 건강, 감초 각 2그램이 들어가는 정기천향탕이 좋은 약이 된다.
배가 심하게 아픈 경행복통을 앓을 때는 언제 통증이 심하느냐에 따라 처방이 달라진다.
월경을 시작할 무렵에 복통이 심하다면 통경탕가미방을 쓰고, 월경 중에 복통이 멎지 않는다면 계박탕을 쓰며, 월경이 끝난 다음에도 복통이 계속될 때는 귀지작약탕을 쓴다.
(1) 통경탕가미방 : 당귀 12그램, 천궁 8그램, 향부자, 육계, 백지, 적작약, 목단피, 현호색(식초에 담갔다가 볶은 것) 각 6그램, 포황, 도인, 오령지 각 4그램, 홍화, 건강(볶아서 까맣게 태운 것), 소회향, 몰약 각 2-3그램이 들어가는 처방이다.
(2) 계박탕 : 계지, 후박 각 12그램, 택사, 익지인 각 6그램, 산수유 4그램 등을 함께 끓인 뒤 용골가루 4그램을 타서 복용하는 처방으로 비만한 여성의 월경 중 복통에 효과가 크다.
(3) 귀지작약탕 : 백작약, 숙지황, 당귀, 백복령, 하수오, 계지 각 12그램, 감초 8그램이 들어가는 처방으로 하루에 두 첩분씩 달여 복용하는 처방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