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엠폭스' 숨겨진 감염 경로와 증상의 변화(질병관리청, WHO)

반응형

질병관리청, UK Health Security Agency, NHS England High Consequence Infectious Diseases Network, 세계보건기구(WHO), Virological, 나무위키 자료

 

 


1. 엠폭스[원숭이두창] 감염 경로

 

• 원숭이두창은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 - 사람, 사람 → 사람, 감염된 환경 →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피부상처 또는 점막을 통한 감염원과의 직접 접촉으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인수공통전염병은 원래 Greece어로. Anthropozoonosis, Anthropos=인류, Zoo=동물, nosis=질병을 의미하며 사람과 동물이 같이 감염되는 전염병을 말함

 


 감염 환자의 혈액 또는 체액(타액, 소변, 구토물 등)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으로 오염된 옷, 침구류, 감염된 바늘

감염된 설치류*(쥐, 다람쥐, 프레리도그* 등), 원숭이 등 동물

*齧齒類: 물 이, 이 치, 무리 류(쥐목(설치목)에 속하는 포유류의 총칭)

프레리도그

*프레리도그(영어: prairie dog)는 개쥐라고도 한다. 캐나다 중부로부터 미국을 거쳐 멕시코 북부를 지나 로키산맥 동쪽에 발달한 남북으로 긴 대평원인 프레리에서 큰 떼를 지어 산다. 다리가 짧고, 발톱은 길고 날카로우며, 꼬리는 짧고 편평하다. 성체는 밝은 갈색이고 짧은 꼬리의 끝만이 검은 갈색이다. 몸길이가 30-50cm이고 몸무게는 0.5-1kg이다. 구멍을 파고 살며, 낮에 먹이를 구하기 위해서만 나온다. 주로 식물성을 먹으며, 때로는 메뚜기 등의 곤충도 먹는다.

 

 

2. 엠폭스[원숭이두창] 주요 증상


• 발열, 두통, 피로, 근육통, 요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근무력증, 오한, 허약감, 림프절 부종*

감기와 유사한 증상시작으로

1-3일 후에 얼굴 중심으로 발진증상을 보이며,

얼굴, 입, 손, 발 가슴, 특히 항문생식기 근처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림프부종은 림프관이 손상되어 간질내에 단백질 성분이 함유된 수분이 축적됨으로써 팔이나 다리에 부종(붓는 현상)과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

 

 

• 감염 후 5~21일(평균 6~13일) 이내에 나타나며 2~4주간 지속됩니다.


※ 발진은 대체로 반점부터 시작하여 여러 단계로

(반점→구진*→수포(물집)→농포(고름)→가피(딱지))로 진행되며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하기도 함.


*구진(papule) : 염증성 여드름 병변과 비염증성 여드름 병변의 중간 형태이며 작고 딱딱한 붉은 색의 병변으로 안에 고름은 잡히지 않은 상태, 모양은 동그란 붉은 반점 같은 발진, 크기가 1cm 미만, 피부 표면이 상승되어 단단한 형태로 나타남. 피부 표면이 두꺼워지는 증상으로, 납작한 상판 모양이나 돔 형태

구진성 발진 사진, Urticaria papulosa/Papular urticaria), 파크피부과의원, 제7권 소아청소년 감염병 자료

※ ‘22년 5월 이후 비풍토병 국가에서 유행 중인 사례는

발진 전 전구기(발열 등)가 없거나 발진 후에 전구기가 나타나기도 함.

 

특정부위(항문생식기)에 발진 수가 5개 미만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항문궤양*, 구강 점막 궤양, 항문직장 통증,

안구 통증, 이급후증(배설 후에도 남는 불쾌한 증상)

등을 동반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음.

 

*궤양(潰瘍)은 염증, 괴사로 인해 상피가 탈락하여 조직표면이 국소적으로 결손되거나 함몰된 것을 의미한다. 궤양은 조직의 염증이 진행되어 발생하거나 조직으로의 산소 및 영양분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하게 된다.

 

 

 

엠폭스 발진 사진

엠폭스 발진 증상 보기(불쾌감 유의)

 

monkeypox pictures - Google 검색

Mpox: Causes, Symptoms,... my.clevelandclinic.org

www.google.com

 

 

3. 엠폭스 치명률

 

’22년 이후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발생 중인 

서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원숭이두창)는 대부분 2~4주 후 자연 치유되며, 

치명률은 1% 미만으로 보고되어 있습니다.
※ 면역저하자, 8세 미만 소아, 습진 병력, 임신 및 모유 수유자에서 중증도가 높을 수 있음.
※ 풍토병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중앙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원숭이두창)의 치사율은 약 10%로 보고됨

 

 

4. 엠폭스 검사 방법

엠폭스(원숭이두창) 진단 검사를 위해서는 

의사환자의 구인두도말, 피부병변액, 피부병변조직, 가피 및 혈액 등에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는 유전자검출검사가 필요합니다.

 

 

 

5. 엠폭스 감염 예방 방법

 

마스크 착용 및 개인위생수칙(손 씻기 등)을 준수하고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 점막 부위를 만지지 마세요.

 

원숭이두창 발생지역 방문을 자제하고, 부득이하게 방문할 

경우 개인보호구(장갑, 마스크)를 사용하세요.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자제하고, 야생고기 취급 - 섭취에 주의해 주세요.

 

 

반응형


엠폭스 나무위키 정보 중 일부

  엠폭스는 2022년부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로 천연두와 우두(牛痘) 등이 포함된 오르토폭스바이러스(Orthopoxvirus) 속의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MPXV)가 일으키는 희귀 인수공통전염병이다.


본래 '원숭이 두창'을 가리키는 'Monkeypox'가 정식 명칭

이었고 'MPOX' 쪽은 약어였으나, 2022년 11월경 세계보건기구에서 '특정 문화 및 지역과 관련하여, 감염자에 대한 차별과 낙인이 생기는 것을 방지(정치적 올바름)'하기 위해 정식 명칭을 'MPOX'로 변경하였다. 이에 같은 해 12월 14일 질병관리청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기를 '엠폭스'로 변경할 것을 관계기관에 권고하였다. 다만, 원인바이러스의 이름은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가 유지된다.

  본래 MPXV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원숭이 사이에서 전파되는 바이러스이나, 감염된 동물에 접촉한 사람에게도 발병한다.


원숭이 두창 감염 시 초기 증상

은 열, 두통, 근육통, 탈진처럼 독감과 유사한 증상 그리고 임파선염 등이다. 이후 1~5일이 지나면 얼굴에서부터 울퉁불퉁한 발진이 생기기 시작하여 다른 신체 부위와 전신으로 번진다. 천연두와 매우 유사한 증상, 그리고 실제로도 천연두와 같은 계열의 바이러스성 감염 질환이기에 천연두의 사촌이라고도 불린다. 본래 '두창'이라는 용어도 천연두의 유의어다. 결막염, 피부 감염, 폐렴, 뇌염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 환자 중 23% 정도가 눈 관련 합병증을 보인다고 한다.

 

엠포스 게이 감염 가능성 

  에이즈처럼 파악된 환자들 중 남성 동성애자 비율이 대다수를 차지하여 항문성교를 통한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연구가 덜 된 만큼 WHO는 아직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일부 학자들은 성적인 형태, 생식기 형태의 성병에 대한 가능성을 말한다. 반론으로는 성관계 시 밀접한 접촉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성적인 형태, 생식기 형태의 성병이 아닌 단순 접촉으로 인한 전파나 침구류 및 물체로 인한 전파가 아니냐'며 동성간 성행위를 콕 집는 전파에 대해선 조금 지나친 해석이라는 주장이 있다. # 하지만 게이 집단에서의 발병이 두드러진 것 때문에 사실 여부와는 별개로 호모포비아(혐동성애) 여론이 커지고 있다.

흔히 말하는 항문성교로 인해 에이즈를 비롯한 병에 걸린다는 것은

정확히는 항문성교 과정에서 항문이 찢어져 상처가 나서 상처를 통해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으로 이는 게이끼리가 아니라 남녀사이에도 남성이 여성의 항문에 성기를 삽입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애초에 항문은 대변을 배출하기 위한 소화 기관이지 생식 기관이 아니며 성기를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찢어지는게 가능할 정도로 약한 부위다. 게다가 안그래도 항문은 신체에서 가장 더러운 부위중 하나인데 그런 곳에 상처가 나게되면 다른 부위에 똑같이 상처가 났을 경우랑 비교했을때 더욱 치명적이다.


  2023년 4월 14일, 국내에서 엠폭스 10번째 확진자

가 나타났다. 지난 7일 6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뒤 7일 만에 누적 확진자가 두 자릿수로 증가한 것이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7일 국내감염 추정 확진자가 발생한 뒤 의심 신고와 문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더 자세히 알아보기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

www.kdca.go.kr

 

엠폭스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원숭이두창 증상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원숭이두창 원인 #원숭이두창 게이 #원숭이두창 감염 #원숭이두창 치사율 #원숭이 두창 피부 증상 #원숭이두창 피부 #엠폭스 증상 #엠폭스 관련주 #엠폭스 원인 #엠폭스 치사율 #엠폭스 감염 #엠폭스 지역 #엠폭스 게이 #엠폭스 사진 #Monkeypox #MPOX #엠폭스 감염경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