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급성 췌장염

반응형

 

급성 췌장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급성 췌장염에는 약물요법과 절식이 원칙이며 그 후의 식이요법도 중요하다.

 

1) 원칙적으로 금식을 하면서 수분과 영양수액제를 공급한다.

발병후 1~3일간 금식을 하고, 정맥 내에 수분, 전해질, 당분, 아미노산 등을 투여한다.

 

2) 경증인 경우는 1~2일간 안정하면 활동을 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수일~1주일간 쉬는 것이 좋다.

 

3) 염증이 소멸되고, 입으로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면, 음식의 질과 양을 높여간다.

 

4) 췌액의 분비를 항진시키는 지방이나 단백질 식품은 제한하고, 당질 식품을 중심으로 유동식을 섭취한다.

 

5) 점차 회복됨에 따라 유동식에서 반유동식, 보통식으로 교체해 간다.

미음, 죽 등 탄수화물 식부터 시작한다.

 

6) 유동식 섭취 시기에는 염분을 1일 3g으로, 회복기에는 염분을 평소보다 삼가는 것이 좋다.

 

7) 유동식을 섭취해도 동통이 없으면 당질을 주로 하는 식품을 섭취하기 시작한다.

 

8) 구토, 설사, 발열 등으로 탈수증이 일어나므로 메스꺼움이 없어지면 수분을 조금씩 공급한다. 안정기에 접어들면, 재발에 주의하면서 지방이 적은 단백질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섬유소가 적고 소화가 잘 되는 식품을 선택하고, 생야채나 김치류는 피한다.

 

9) 단백질과 지방은 제한한다. 

지방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저지방 식품을 섭취한다. 지방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단백질은 하루에 30g, 지방은 6g을 섭취한다.

 

10) 동통이 사라지면 지방 함유량이 낮고 소화가 잘 되는 것을 주며, 지방 함유량도 점차 증가시킨다.

 

11) 회복된 후에는 알코올 섭취를 금하고, 당뇨병을 억제하며, 담석수술을 받는 등 병의 원인을 제거해 가도록 한다.

담석, 담낭염, 당뇨병, 지방식, 알코올, 다식 등 주된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12) 자극성 식품은 당분간 피하는 것이 좋다.

 

13) 음식은 천천히 잘 씹어 먹도록 한다.

 

14) 전체적으로 소화력이 떨어지므로 소화가 안 되는 식품을 피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도 찌거나 익히는 방법으로 가열해서 먹는다.

 

15) 장폐색으로 의심이 가는 때에는 금식을 하고, 의사의 진찰을 받도록 한다.

 

16) 췌장염을 예방하려면 

- 폭음, 폭식을 피하고, 특히 과로에 주의할 것

-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한 끼에 많이 먹지 않는다.

- 식사는 간격을 두고 일정하게 섭취한다.

- 음식은 잘 씹어 먹도록 한다.

- 유발 원인이 되는 담석증, 회충 등을 사전에 치료한다.

 

 

 

(2) 취할 것 

 

1) 단백질식품 : 두부, 흰 살 생선

 

2) 당질식품 : 콩류, 감자류, 과일류

 

 

(3) 적극 피할 것 

 

1) 방향성 식품 : 카레, 고추

 

2) 자극성 식품 : 커피, 알코올, 향신료

 

 

  

(4) 식사기준 

구 분 종 류 섭 취
주식 밥, 빵, 면 (라면은 금지) 보통으로 섭취
고기, 어패류, 대두, 콩제품 보통으로 섭취
계란, 해조, 버섯 삼가
야채, 감자 보통으로 섭취
부식 과일, 우유, 유제품 보통으로 섭취
과자 보통으로 섭취
알콜 금지
카페인 탄산음료 되도록 삼가
기타 기름, 향신료 되도록 삼가
설탕, 소금, 간장, 된장 보통으로 섭취

 

(5) 식단 예 (겨울)

구분 아침 점심 저녁
메뉴 밥, 된장국(두부, 양파), 계란후라이, 야채샐러드, 과일 우동, 뱅어포, 우유, 바나나 밥, 된장국, 무즙, 두부무침, 감자, 당근, 요구르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