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주로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며,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종이 요로나 혈류 등 다른 부위로 유입되어 요로감염, 위장관염, 폐렴 및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의료관련 감염병
카바페넴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여러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려우며, 항생제 사용의 빈도가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인 문제입니다.
CRE 감염증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CRE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특히 상처나 대변)을 통해 사람 간 전파가 이루어지며, 오염된 기구(의료장치 등)나 물품 등의 사용으로 상처, 수술을 통해 CRE 균이 몸 안으로 들어갔을 때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대부분은 단순 보균상태로 치료의 대상이 아니고, CRE가 감염증의 원인균으로 판단되면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 전문가와 상의하여 치료합니다.
감염전파 예방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요?
의료기관 | 방문(면회)객 |
표준주의와 접촉주의 - 손위생, 개인보호구 착용 - CRE 감염증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는 1인 격리 또는 동일한 분리균과 카바페넴분해효소를 가진 환자(병원체보유자 포함)끼리 코호트 격리 - 의료용품(혈압계, 체온계 등) 등 개인 물품 사용 - 주변 환경 표면 정기적으로 소독 등 |
- 면회는 최소화하고, 면회 시 현재 환자에게 적용 중인 증인 주의와 손위생, 개인보호고와 같은 전파 예방법에 대해 의료종사자들에게 안내받은 것을 준수 |
출처 : 질병관리청 2022년도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 요양병원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2020년도),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2017)
반응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