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타박상

반응형

 

타박상 식이요법

 

 

 

[좋은 식품]

생강, 목통, 메일, 인동 풀, 무, 쑥, 오이, 치자

 

[ 증세 ]

외상을 입으면 피하출혈을 하여 검푸른 반점이 생기고 심한 경우에는 골절이 되거나 복부 타박일 경우는 피하조직이 파열되는 수가 있다.

 

[ 처방 ]

1. 환부를 깨끗이 한 다음 생강즙이나 참기름으로 문질러 바르면 상처가 낫는다.

 

2. 목통(으름덩굴 말린 것)을 달여서 그 즙을 부위에 바른다.

 

3. 메밀가루를 술로 반죽하여 바르면 효과가 있다.

 

4. 인동 풀을 풀오 넣고 목욕을 하면 효과가 있다.

 

5. 무즙을 내어 1일 2~3회씩 환부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6. 쑥 잎사귀와 마늘 40g, 말 오줌 나무 40g, 헝겊에 싸서 목욕물에 우려내고 덥게 데워서 입욕하면 특효가 있다.

 

7. 오이 반개, 밀가루 0.5홉, 후춧가루 약간을 반죽하여 환부에 헝겊으로 동여 놓으면 효과가 있다.

 

8. 치자나무 열매 가루에 치자나무 열매의 1/10되는 생가을 넣고 식초로 반죽하여 환부에 발라 붕대로 해서 바르며 2~3차례 갈아 준다.

 

9. 생강즙과 청주를 섞어서 환부에 발라 준다.

 

10. 수선화의 뿌리를 찧어서 밀가루와 반죽한 것을 환부에 바른다.

 

* 부추를 절구에 넣어 질척해질 때까지 찧은 뒤 소금을 약간 섞어 가제에 펴 발라 상처 부위에 습포제로 사용하면 효과가 있다. 타박상은 겉으로 나타나는 출혈은 없지만 피부조직 밑에서 내출혈이 수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멍이 든 상태로 그 부위를 차갑게 해 주고 그다음 부추로 효험을 볼 수 있다.

 

* 오이즙에 밀가루, 식초를 함께 개어 발라 주면 어혈을 푸는 역할을 하므로 타박상에 효과적이다. 이때 각 재료의 비율은 오이즙 2 수저에밀가루 1 수저 식초 1 수저가 적당하다. 

 

* 타박상이 악화되어 신경통까지 생겼을 때는 선인장 표면에 칼집을 내어 나온 즙을 환부에 발라준다. 이 방법은 놀라울 만큼 효과적이므로 꾸준히 시도해 볼 만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