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감염병3

반응형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질병관리청) 피부는 햇빛을 싫어하지만 진드기를 더 싫어합니다. 예방 1 옷 제대로 입기모자, 긴팔, 긴바지, 등산화, 목수건, 장갑, 목이 긴 양말, 돗자리 예방 2 기피제 뿌리기 진드기 기피제 주요 성분 및 함량 디에틸톨로아미드(DEET) 7~30% 이하 : 털진드기, 참진드기 이카리딘 : 7%(털진드기), 15% (털진드기, 참진드기) IR3535 : 12.5%(털진드기), 14% (털진드기, 참진드기) *쯔쯔가무시증(털진드기), SFTS(참진드기) *성분함량, 효과 지속시간이 다르므로 제품별 사용법 확인 후 사용 권고 *옷에 보조적으로 살포 시 지속 시간 4시간 예방 3 풀숲 피하기 예방 4 털고, 씻고, 빨래하기 에어건으로 진드기 털기, 전신 샤워 및 진드기 찾기, 야외복 분리 세탁하기 진드기는 흔적을 남기빈..
수인성 · 식품 매개 감염병(세균, 바이러스 등 설사, 복통, 구토) 수인성 · 식품매개감염병 세균, 바이러스 등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해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 예) #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EHEC), #비브리오패혈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예방수칙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2. 음식은 충분히 익혀먹고 물은 끓여마시기 3. 채소나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4.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5.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6. 생선, 고기, 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고 칼, 도마는 조리 후 소독하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손바닥, 손등, 손가락 사이, 두 손 모아, 엄지 손가락, 손톱 밑
일본뇌염 예방접종 / 감염경로 / 증상 / 치료 일본뇌염 감염병 소식지 일본뇌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감염경로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감염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나, 드물게 고열, 구토, 복통, 경련 등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고 회복되어도 언어장애, 판단능력 저하 등 후유증 발생 가능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에 대한 대증적 치료 반드시 맞아야 하는 일본뇌염 예방접종 구분 백신 종류 접종 일정 어린이 (필수 예방접종) 불활성화 백신 총 5회 접종 -생후 12~35개월에 7~30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이후 만 6세, 12세에 추가접종 생백신 총 2회 접종 -생후 12~35개월에 1차 접종하고 12개월 후 2차 접종 성인 (일본뇌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