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감기

반응형

 

감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감기가 심하면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면서 영양공급을 해야 한다.

 

1)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감기에 걸리면 체온이 상승하는 만큼 에너지 소비량이 늘어나므로, 입에 맞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충분히 보충하도록 한 다.

 

2)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들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 열이 날때는 간장의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고, 단백질, 지방이 분해되며, 비타민 (A, B1, C), 나트륨 등의 소비량도 늘어나므로 이들을 충분히 보충해 주어야 한다.

 

3) 감기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유동식, 미음식을 주어, 영양분을 적극 공급해 주도록 한다.

 

4) 열이나 설사가 있으면, 수분과 미네랄을 다량 섭취해야 한다.

- 탈수 증상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막고, 목이 마른 것에 대비하기 위함.

- 특히, 냉수는 몸의 내부와 외부를 차게 식혀주어 빨리 열을 내리게 도와줌.

- 유아의 경우는 우유도 평소 농도의 3/2로 엷게 해서 충분히 준다.

- 감기 환자가 물을 마실 수 없을 때는 병원에서 정맥 내 수분 보급(수액주사제)을 받도록 한다.

어린이의 경우, 수액제 주사로 열을 급속히 내릴 수도 있음.

 

5) 열이 있을 때는 비타민 B1, C 외에 당분을 공급해 주면 효과가 있다.

 

6) 음식은 수분이 많고 따뜻한 것을 섭취한다. 특히, 기침, 담이 있을 때 많이 섭취한다.

 

7) 체력소모가 심한 경우는 음식물 외에 5% 포도당에 아미노산 제제와 비타민 B1, C, 칼륨 등을 함유한 영양주사를 맞도록 한다.

 

8) 지방이 많은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열이 있으면 위장작용이 약해지며 때로는 소화기에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설사나 구토를 일으키기 때문에 설사를 유도하는 지방식품을 피한다.

 

9) 한밤 중에 열이 나는데, 해열제를 구할 수 없는 경우 얼음주머니를 겨드랑이나 목, 사타구니 등에 얹어서 해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얼음주머니를 동맥이 피부 표면 가까이에 있는 세 부위 중 한 부위에 얹어 주는 것이 좋으며, 이마에 얹는 것은 효과가 미미하다.

 

10) 열이 내려가고 증상이 좋아지면 식욕에 따라 열량이 높은 식사를 한다.

 

11) 감기예방식

- 비타민 B1 이 부족하면 피로가 쉽게 와서 곧 감기에 걸리므로 비타민 B1 이 풍부한 식품을 먹도록 한다.

비타민 C는 하루 60mg이 기준량인데 3-4배를 섭취함이 좋다.

- 녹황색 채소, 과일(감귤류)을 매일 먹는다.

-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 음식을 많이 먹는다.

- 식초를 첨가한 음식을 하루에 한 번씩 먹는다.

 

12) 감기를 예방하려면

- 외출에서 돌아오면 물로 입안을 씻어준다.

- 가족 중에 감기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유아를 격리시킨다.

- 평소, 몸의 저항력을 길러 두는 것이 필요하다.

- 마스크는 감기 예방은 되지 않지만, 이미 감기에 걸린 사람이 사용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 잠잘 때에는 반드시 잠옷으로 갈아입으며, 건포마찰을 하는 것도 효과 있다.

- 감기 유행 시에는 영양공급과, 충분한 휴식, 수면을 취하도록 한다.

 

 

(2) 적극 취할 것

 

1) 밥, 빵, 면

 

2) 증상이 심할 때의 유동식, 미음식

우유, 유산균 음료, 아이스크림, 주스, 난황을 녹인 된장국, 계란, 수프, 우동(가락국수), 과즙

 

3) 열이나 설사, 목이 마를 때

차, 주스, 수프, 스포츠음료

 

4) 감기에 섭취하면 좋은 식품

- 마늘 : 생마늘을 갈아서 간장에 담가 먹는 방법도 있다.

- 양파, 생강 : 익히거나 수프에 넣어서 먹거나 미음에 넣어 먹는다.

- 귤 : 짜서 뜨거운 물을 붓고,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신다.

- 표고버섯, 감 : 말린 표고버섯과 말린 감을 가늘게 썰어서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신다.

- 당질 식품 : 주스, 벌꿀, 잼, 설탕, 유산균 음료

 

5) 감기 예방 식품 

- 간 : 비타민 A의 모체인 카로틴이 들어 있어 감기 예방에 큰 역할을 한다.

- 어패류, 콩, 치즈, 계란, 육류

 

(3) 식사 기준 

구분 종류 섭취
주식 밥, 빵, 면  보통으로 섭취
고기, 어패류, 계란  많이 섭취
야채, 감자, 호박, 버섯, 해조  보통으로 섭취
녹황색 채소 많이 섭취
부식 과일, 우유  많이 섭취
과자, 술, 탄산음료  보통으로 섭취
기타 설탕, 향신료  많이 섭취
기름, 소금, 간장, 된장, 식초  보통으로 섭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