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위와 변비에 좋은 결명자차

반응형

눈을 밝게 한다는 결명자차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의 이름이 생긴 유래를 따져보면 재미있는 것이 많다.

 

약의 맛을 따져서 붙인 이름은 감초, 고삼, 세신 등이 있고 계절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은 반하, 인동등, 사람의 이름을 딴 것으로 서장경, 포공영, 동물과의 관계로부터 생긴 이름은 음양곽, 낭독, 형상에 따라 붙인 것은 오두, 마편, 호장, 지명에 유래하는 것으로는 촉규, 고량, 약재의 빛깔로 이름 지은 것은 청호, 마황, 시적인 표현을 한 것으로는 백두옹, 왕불유행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약재가 나타내는 약효를 이름으로 표시한 것이 있음은 그 유래가 가장 적절 간명하여 인상적이다. 예컨대 부인병에 좋다는 익모초, 신경을 튼튼히 하여 잔걱정이 없어지고 뜻이 원대해진다는 원지 등이 그 좋은 예이다.

 

결명자는 눈을 밝게 한다고 하여 이름이 생겼다니 이 또한 주목할 만한 존재가 아닌가 한다.

 

"결명자는 청맹(청맹과니) 및 눈이 충혈되고 아프며 눈물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베개에 넣어 늘 베고 자면 역시 눈이 밝아지며 잎사귀도 눈을 밝게 하고 오장을 이롭게 하니 나물로 무쳐서 먹으면 아주 좋다."

 

결명자에는 에모딘, 옵투시폴린, 옵투신, 크리소옵투신, 아우란티오옵투신, 크리소파놀, 단백질, 지방유, 점액질 등의 성분이 들어 있음이 증명되고, 에모딘은 완하 작용이 있음이 현대 약리학적으로 밝혀지고 있고, 민간약으로서 야맹증, 녹내장 등에 사용된다.

 

흔히 가정에서 끓여서 차로 만들어 마시는데 건위, 정장, 이뇨작용이 있으며 변비증에도 좋아 인도에서는 전부터 커피 대신 음료수로 사용하고 있다 한다.

 

결명자 20g 정도를 그냥도 좋고 살짝 볶은 것도 좋으니 적당히 물을 넣고 끓여서 2홉 정도가 되면 차처럼 마시면 되는데 빛깔도 홍차처럼 아름답다.

 

일본에서는 결명자차를 많이 애용하는데 변비, 만성위장병, 소화불량, 위 확장, 위하수, 위산과다, 위경련, 위아토니, 충수염, 구내염, 황달, 담마진(두드러기), 신장염, 신우염, 신장병, 각기, 당뇨병, 방광염, 임질, 부인병, 폐결핵, 늑막염, 복막염, 간장염, 류머티즘, 신경통, 뇌병, 안질 등에 좋은 음료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