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효능

도라지의 효능 : 기침, 가래, 해열

반응형

 

도라지는 진해, 거담, 해열 진통제


도라지를 한방에서는 길경이라고 한다. 도라지는 현대 약물학에서도 중요한 생약이며 진해 거담약(기침을 없애고 가래를 멈추는 약)으로 쓰인다.

 

도라지의 아리고 쓴맛의 성분은 플라티코딘, 사포닌 등인데 이 성분에 항염증, 거담, 항궤양, 진해, 해역, 진통 등의 약리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동의보감>에는 약 처방이 3천 수백개나 실려 있는데 길경이 배합되어 있는 처방이 그중의 약 8퍼센트인 278개나 된다. 그 처방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해 본 결과도 역시 아까의 약리작용과 같은 것이어서 옛날의 약리학도 정확했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다.

 

폐의 숨가쁜증을 다스리며 인후통과 가슴, 옆구리 등이 결리고 아픈 것을 고친다. 산중의 곳곳에 있으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캐어 말린다. 나물을 만들어 사시로 상식한다. 

 

약으로 사용하는 도라지는 연보랏빛 꽃인 것보다도 흰꽃의 품종이 좋다는 설도 있으나 약리학적 근거는 없는 것 같으며 꽃 빛깔의 유무가 토양 속의 철분과 관계가 있다는 발표도 있다.

 

한방에서는 약의빛깔을 오행론적으로 따져서 약성과 결부시키는데 황색 약은 비장, 백색 약은 신장, 청색 약은 간장, 적색 약은 심장과 각각 관계가 있다고 한다.

 

물론 약의 빛깔, 냄새, 맛 등 어느 것 하나 약물 감별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것이 없을 것이며 어느 정도 약효와도 관련성이 있을 수도 있으나, 지나치게 형식적으로 구애되면 착오를 일으키기 쉽다. 때로는 한방이 미신과 결부되어 오해받기 쉬운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