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신장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병의 진행정도에 맞추어 안정이 필요하며 근본적인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식이요법은 만성 신장염의 치료에 유효한 방법이다.
1) 신장의 기능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량은 하루에 30~50g 으로 하고, 저하되지 않았으면 단백질을 과식하지 않도록 한다.
하루에 100g 정도를 섭취한다.
신증후군형이면 소변으로 손실된 단백질을 하루에 80~90g 정도 보충한다.
단백질 가공식품은 피하고, 양질의 단백질 식품을 선택한다.
고혈압인 경우는 단백질을 체중 1kg 당 1일 1g 섭취한다.
2) 증상에 따라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고혈압, 부종, 신장기능이 약간 저하된 경우는 하루에 3~7g으로 제한.
염분이 많은 김치 등은 피하고 간장, 된장 등 조미료 사용에 주의.
부종, 고혈압이 심하면 염분은 1일 8g으로 하고, 소변량이 감소하면 염분은 1일 3~5g으로 한다.
염분이 비교적 적은 감염간장, 감염된장, 토마토케첩, 마요네즈 등을 사용한다.
3) 수분은 자각증상이 없을땐, 제한할 필요가 없다.
신증후군형으로 부종이 있으면 전날 소변량 + 500~800ml의 수분 섭취.
수분제한이 있는 경우는 즙이나 수프 등은 피하고 음료수만 마심.
4)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은 당질이나 지방식품에서 상당한 열량을 확보하도록 한다.
5) 자극이 강한 향신료 사용을 금한다.
6) 에너지 섭취량을 조절한다.
단백질을 제한하는 경우는 1일 1800~2000Kcal 의 열량을 보급함.
7)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고칼륨혈증이 있을 때는 칼륨 섭취를 제한한다.
단, 혈압강하제나 부신피질홀몬제 사용 중에는 저칼륨 혈증이 되는 적이 있으므로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하여 칼륨이 부족하지 않도록 함.
8) 신증후군형일때는 단백질을 약간 많이 섭취한다.
9) 이뇨제를 사용한 경우는 나트륨이 부족하지 않도록 한다.
10) 신선한 식품, 특히 제철식품을 선택하여 섭취한다.
11) 극심한 운동이나 과로를 피한다.
(2) 취할 것
1) 단백질식품
고기, 생선, 계란, 우유, 유제품, 콩 (이상 1일 단백질 섭취량의 반을 섭취)
2) 지방식품
콩기름, 들기름등의 식물성 기름, 드레싱, 버터, 땅콩
(3) 적극 피할 것
1) 자극이 강한 향신료 : 생강, 겨자, 고추
2) 염장류 : 소금, 된장, 간장, 젓갈
(4) 식사기준
구 분 | 종 류 | 신증후군 | 고혈압형 | 진행형 |
주 식 | 밥, 빵, 면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고기, 어패류, 계란 | 많이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
대두, 콩제품 | 많이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
야채, 해조, 버섯, 감자, 호박 | 많이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
부 식 | 과일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우유, 유제품 | 많이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
과자류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
알콜, 카페인, 탄산음료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삼가 | |
기 타 | 소금, 간장, 된장 | 삼가 | 삼가 | 삼가 |
식초, 향신료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
설탕, 기름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보통으로 섭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