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독소 배출엔 수박

반응형

수박은 이뇨작용, 볶은 씨는 일미

 

 


수박은 당분(과당, 포도당, 서당), 능금산, 아르기닌, 베타인, 시트룰린 등 아미노산과 효소, 색소(리코핀, 카로틴) 등이 주성분이다. 수박씨에도 쿠쿠르비톨을 주성분으로 하는 지방유를 비롯하여 전분, 포도당, 효소 등이 풍성하게 들어 있어 볶은 수박씨가 일미인 것도 이유가 있는 것이다.

 

 

오늘날의 식이요법에서도 수박즙을 졸여서 만든 엑기스를 서과당이라고 하여 신장병의 부기를 빼는 데 응용하고 있다.
신장이라고 하면 그저 소변 걸러내는 말단 기관처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지만 혈액의 성분 및 알칼리성과 산성을 언제나 일정하게 조절해 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한방 치료법에서도 체내에 독소가 축적되면 병이 생기니 그런 때에는 이뇨작용에 의한 소변이나 발한 작용에 의해 땀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킨다는 발상법이 적용되고 있다. 신장 기능에 고장이 생겨 소변 배출이 나빠지면 오독증이 생겨 위태롭게 된다는 것은 현대의학의 상식이며 그런 때에 이뇨제를 사용한다.


"수박은 번갈(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며 목이 마르는 증상)과 서독(더위의 독기)을 제거하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하며 혈병과 구창을 다스린다. 입안이 헐었을 때 수박즙을 마시고 겨울에는 껍질을 태워 입에 바른다."


껍질을 서과피 또는 익의라 하기도 하고 껍질의 흰 살은 채소처럼 먹을 수도 있다.

 

중국 사람들이 수박을 먹는 정경을 "만구시과 만수시즙"이라고 하는데, 얼굴 전체를 가릴 정도로 코를 박아가면서 양손에 물을 줄줄 흘려가며 먹는 모습을 형용한 것이다. 수박을 일병 한과라고도 하는 이유는 맛나다고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뱃속이 냉하게 된다는 뜻이니 무엇이든지 과유불급이다.

 

수박을 고를 때 짚은 녹색보다는 담록색이 좋고 두들겨 타진하는 법도 있다고 하나 수박 종류에 따라 껍질 두께가 5mm에서 3mm에 이루기까지 여러 가지라니 그것도 그리 말처럼 간단하지는 않은 모양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