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밤에 우는 이유 4가지
1) 몸에 찬 기운이 있을 때
냉수나 차가운 우유, 과일, 아이스크림 등을 많이 먹거나 찬 물로 목욕을 하면 소화력이 떨어진다. 아이는 배를 구부리면서 우는데 이때 아이의 배를 만져보면 많이 굳어있음을 알 수 있다. 찬 음식을 많이 먹었거나 장시간 찬 데서 놀거나 하여 아이의 얼굴이 창백해지거나 입에서 냉기가 느껴지며 손발이 차가워지면 잠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장에 좋다고 하여 찬 우유를 먹이는 경우도 있는데 소화력이 약한 소아들에게는 꼭 삼가야 한다. 툭하면 설사를 한다든지 위나 장 활동이 안 되어 변비가 생기는 소아는 우유 자체가 안 맞는 경우도 있으며, 차게 먹임으로써 위와 장에 손상을 주게 된다.
복통, 위통 외에도 감기기가 있으면 울게 되므로, 평소 모유의 온도가 가장 알맞은 우유의 온도임을 기억해야 한다.
2) 몸에 열이 있을 때
너무 더운 곳에서 장시간 놀아서 더위를 먹은 경우로 얼굴이 조금 붉어지고, 소변색도 평소보다 많이 붉어진다. 모유를 먹여보면 입에서도 열기가 느껴지며 배를 만져보면 복근에 힘이 없이 늘어져 있다. 땀을 많이 흘리며 울 때도 구부려서 우는 것이 아니라 배를 젖히면서 울게 된다.
3) 입안이 헐거나 혀밑에 뭐가 났을 때(重舌:중설)
입안이 헐면 젖이나 우유를 잘 먹지 못하고, 젖을 가까이 가져가도 피하면서 운다. 이때 몸과 이마 등 온몸에 미열이 발생한다. 만약 입안이 헐지도 않았는데 계속 울면 혀밑에 중설이 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서둘러 외과나 한의원에서 조치해야 한다.
4) 경기와 유사한 *객오의 증상이 있을 때
약하게 태어난 아기는 정기가 약해 자주 조금씩 놀란다. 평소에 보지 못했던 무섭고 큰 물건이나 그림을 보거나, 무서운 사람을 보거나, 큰 소리에 놀라거나, 한 번도 가보지 않았던 곳에 가면 공포감이 생긴다.
이때 증상은 입에서 청색, 황색의 거품을 토하거나 대변을 보게 되는데 소화가 전혀 되지 않은 채 배설된다. 얼굴색은 여러 가지로 바뀌고 경기처럼 몸을 뒤틀기도 하지만 눈동자를 위로 뜨지는 않는다.
*객오 : 소아가 갑자기 놀라서 생긴 병증
중설로 인한 문제가 아니라면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울고있는 아이에겐 엄마의 스킨쉽과 다정한 말투가 가장 좋은 약이된다. 평소 잠들기 2~3시간 전에는 아이에게 자극적인 음식을 먹이거나 불안감을 조성해서는 안 된다.
#야경증 #야제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