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본뇌염 감염병 소식지
일본뇌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 감염경로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감염
-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나, 드물게 고열, 구토, 복통, 경련 등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고 회복되어도 언어장애, 판단능력 저하 등 후유증 발생 가능
-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에 대한 대증적 치료
반드시 맞아야 하는 일본뇌염 예방접종
구분 | 백신 종류 | 접종 일정 |
어린이 (필수 예방접종) |
불활성화 백신 | 총 5회 접종 -생후 12~35개월에 7~30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이후 만 6세, 12세에 추가접종 |
생백신 | 총 2회 접종 -생후 12~35개월에 1차 접종하고 12개월 후 2차 접종 |
|
성인 (일본뇌염에 대한 면역이 없는 사람) |
불활성화 백신 | 총 3회 접종 -7~30일 간격으로 2회,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
생백신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백신) |
총 1회 접종 |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s://nip.kdca.go.kr)
'가장 좋은 예방법'은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입니다.
1. 외출 시에는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 옷 입기
2. 피부가 노출된 곳에는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3. 야외 활동 시 진한 향수 등 향기 제품 사용 자제하기
#일본뇌염 3차 #일본뇌염 예방접종 열 #일본뇌염 생백신 사백신 #일본뇌염 사백신 #일본뇌염 4차 #일본뇌염 모기 #일본뇌염 예방접종 #일본뇌염 생백신 #예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