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효능

전복의 효능 : 고혈압, 이명, 현기증, 상기증

반응형

 

초로기에 좋은 전복


굴 껍데기는 모려라고 하여 강정제 또는 성신경쇠약증에 치료약으로 처방이 되는 약재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전복껍데기를 석결명이라 하고 대합 등의 조개껍데기를 가루로 만든 것을 해분이라고 하여 모려와 비슷한 목적의 약으로 사용한다. 또 오징어 등뼈를 '해표초' 또는 오적어골이라고 하여 역시 약이 되는데 서양 민간에서도 이 가루를 치마분으로 사용하고 또는 위산과다증에 제산제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약재들의 약효가 틀림없다는 근거만 있다면 우리의 일상생활 주변에서 약을 구해서 사용한다는 것은 바람직스러운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모려나 해표초가 위산과다증에 위산을 중화시키는 제산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은 이미 확인된 바 있으니 근거 없는 것도 아니다.


선사시대 조상들의 생활 유적에 조개무지가 있는 것을 보면 태고시대에 조개가 얼마나 중요한 식량이었던가를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농경목축 이전에는 조개야말로 가장 중요한 생명의 양식이었으니 재산이니 보배니 하는 한자에 죄다 패 가 들어 있음도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닌 것이다. 제, 화, 보, 매, 매, 판, 유, 저, 대, 부, 채, 공, 세, 비...


일반적으로 조개류에는 단백질이 풍부하며 그것을 구성하는 아미노산도 다양하고 칼슘, 인, 철, 요오드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A 등도 풍부하여 한방에서는 자음보식이라 하여 특히 초로기에 접어든 사람에게 좋은 음식물이다. 고혈압, 현기증, 귀울림, 상기증 등에 좋고 간 기능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러나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조개류가 다 소화하기 힘들고 또 사람에 따라서는 조개에 대해서 특이한 체질인 사람도 있다는 사실이다. 중국요리에서 강정식이라고 정평이 있는 네 가지 요리를 삼, 표, 시, 토 라고 하는데 삼은 해삼이고, 표는 전복, 시는 상어지느러미, 토는 어표 라고 쓰는데 생선 부레를 말한다.


어물이 건강에 좋은 것은 우리나라의 장수촌이 주로 해변 또는 섬의 어촌이라는 통계가 나온 것을 보더라도 짐작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