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많습니다. 이 자료는 2022년 5월 3일 기준 정보를 기초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과학적 근거에 의해 밝혀지는 지식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1. 코로나19 후유증이란?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되어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를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WHO, '21.10.6)
*국가별 코로나19 후유증의 정의
- (미국) 4주 이상 유지되는 증상이 코로나19 감염 이후 지속 또는 재발하거나 새롭게 발현되는 경우
- (영국) 코로나19 완치 후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증상이 나타나는 것, 영국 국립보건임상연구소는 12주 이상
- (독일) 코로나19 감염과 관련되어 일상 기능 및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위해
- (호주) 수 주 혹은 수개월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감염 이후(보통 4주 후) 장기간 증상이 남아있거나 악화되는 것
-일반적으로 피로감, 호흡곤란, 우울·불안, 인지 저하 등 200개 이상의 다양한 증상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증상의 종류
- 두통, 집중력 저하, 인지장애, 수면문제
- 탈모, 발진
- 관절통, 근육통, 저림증
- 생리 주기 변동
- 발열, 후각·미각 이상, 기침
- 숨이 찬 증상, 호흡곤란
- 심장 두근거림, 가슴 통증
- 복통, 설사
- 피로감, 운동 후 권태감, 우울·불안 등
반응형
2. 코로나19 후유증의 지속기간
- 코로나19 후유증의 지속기간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WHO에 따르면 확진자 대부분은 완전히 회복하지만, 약 10~20%의 환자는 감염 초기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합니다.
-이는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초기 증상의 중증도 및 입원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3. 코로나19 후유증의 치료
-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현재까지는 알려진 바 없습니다.
- 코로나19 후유증의 완화를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코로나19 감염 후 새로 나타나거나 지속되는 증상에 대해서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코로나19 격리해제 후 불안, 우울증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국가심리지원센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가심리지원센터
- 정신건강센터 :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센터 누리집에서 확인 https://mhs.ncmh.go.kr/
- 근로자 건강센터 및 직업트라우마센터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누리집에서 확인
- http://www.kosha.or.kr/kosha/business/healthcenter.do
4. 코로나19 후유증의 예방
- 코로나19 후유증을 예방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는 없습니다. 현재로서는 감염관리수칙을 준수하여 코로나19에 감염되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5.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인한 전파 가능성
-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인한 증상이 지소되더라도 감염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코로나 후유증 기침 #코로나 후유증 두통 #코로나 후유증 어지러움 #코로나 후유증 피로 #코로나 후유증 생리 #코로나 후유증 병원 #코로나 후유증 설사 #코로나 후유증 가래 #코로나 후유증 두드러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