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발견이 중요한 'C형간염'의 증상과 치료 방법(질병관리청)
조기 발견, 치료가 중요한 'C형간염'을 아시나요?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 B형간염에 비해 만성간염 진행 비율이 높습니다. | 전파 경로 혈액이나 체액으로 인해 감염되며 감염자 산모로부터 수직감염,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감염자 혈액 수혈 및 장기이식으로 감염됩니다. 식사, 포옹, 손잡기 등 일상적인 접촉이나 기침 등으로는 감염되지 않습니다. | 증상 급성 C형간염의 경우 70~80% 무증상이며 감기 몸살 증세, 전신 권태감, 메스꺼움, 구역질, 황달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만성 C형간염의 경우 60~80% 무증상이며 만성 피로감, 간부전, 문맥압 항진증 등 간경변증의 증상을 보입니다. 급성의 잠복기는 2주 ~ 6개월(평균 6~10주)이며, 만성의 경우 무증상 감염자..
A B C E형 간염 증상 | 치료 | 감염 경로
다양한 종류의 간염! 여러분은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질병관리청 간염이란? 바이러스, 알코올, 혈액, 자가면역 등의 원인에 의해 간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바이러스에 따라서 종류가 달라지며, 가장 대표적으로 A, E, B, C형 간염이 있습니다. 먼저, 'A형간염'을 알아볼까요? 정의 : A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간염 질환 감염 경로 : 분변 - 경구 감염*, A형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 등 증상 : 발열, 식욕감퇴, 구토, 권태감, 짙은 갈색 소변, 황달 등 치료 : 대증 치료로 안정을 취하고 고단백 식이요법 병행 *경구 감염 (經口感染) : [보건 일반 ] 병원체가 입을 통하여 몸속에 침입하는 것. 음식물, 손가락, 파리, 식기 따위가 감염의 매개가 되며 이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