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비만증2

반응형
비만 측정 방법과 경혈 치료 비만 측정하는 법 지방 조직이 정상보다 늘어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생체의 지방 조직량을 측정하기가 말처럼 쉽지 않고 측정법에 따라 정상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스스로 비만인지 아닌지 측정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그래서 흔히 통용되는 방법이 키에서 100을 뺀 뒤 0.9를 곱해 나온 수치를 표준 체중으로 측정하는 '브로카의 방법'이다. 예를들어 키가 160센티미터라면 여기에서 100을 뺀 60에 0.9를 곱해 나온 54킬로그램이 표준 체중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사람의 실제 체중이 60킬로그램이라면 비만하다는 것인데, 얼마나 비만한 것인지 비만도를 알아보려면 실제 체중에서 표준 체중을 뺀 숫자를 표준 체중으로 나누어 100을 곱하면 된다. 이때 단위는 %를 쓴다. 예를 들어 표준 체중이 54..
식이요법 : 비만증 비만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감자, 홍당무(당근), 양파, 마늘, 산나물, 들나물, 미역, 다시마, 사과 [ 증세 ] 우선 비만아를 보면 심장을 주로 하여 순환기 장해 및 위장기능이 불균형하여 변비나 위장기능이 비정상이며 특히 호흡기 장해 또는 발이 차갑게 느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성년으로서는 대기 지방질이 쌓이기 쉬운 목, 어깨, 무릎 위, 가슴 부위와 허리, 아랫배 주위에 쓸데없는 살이 찌게 되는데 주로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며, 심장의 고동이 심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린다. 비만을 고민하는 어떤 사람은 빵, 우유, 과일 등으로만 때우는 일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 생각한 것이다. 이런 식이를 계속한다면 고혈압, 동맥경화, 변비, 치질, 담석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만일 식욕부진의 현상이라면 되도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