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식중독3

반응형
식중독 6대 예방 수칙 (식중독 증상 및 치료 방법) - 식품의약품안전처 손씻기, 보관온도 준수! 6대 예방수칙 지켜요 기온이 오르는 지금! 세균성 식중독을 조심해! 주의가 필요한 세균성 식중독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 오염 경로 : 샐러드, 겉절이 등 익히지 않은 채소류 조리 음식에서 주로 발생 - 예방법 : 1) 날 것으로 섭취하는 채소류는 세척 후 냉장 보관 또는 바로 섭취 2) 대량 조리 시 염소계 소독제(100ppm)에 5분간 담근 후 2~3회 흐르는 물에 헹궈 제공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 - 오염 경로 : 오염된 달걀을 만진 후 손을 씻지 않고 조리한 경우 살모넬라에 오염된 조리도구 사용으로 인한 교차 오염 시 발생 - 예방법 : 1) 달걀, 닭 등 가금류 취급 후 반드시 비누 등 세정제로 손씻은 뒤 조리 2) 조리 시 중심 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가열 ..
일교차에 주의해야 할 봄철 식중독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일교차가 큰 봄철 식중독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라는 균이 증식하여 만들어 내는 장독소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 전파경로 덜 익힌 육류(특히 닭, 오리 등), 비살균 유제품, 오염된 물 또는 음식을 섭취하여 감염 ※ 대량으로 조리한 음식을 부적절한 온도로 보관할 경우 균이 많아져서 식중독 발생 가능함 잠복기 6~24시간(대부분 10~12시간) 증상 갑작스런 복통, 설사, 메스꺼움이 있으며 대체로 1일 이내 소실 - 대부분 발열이나 구토는 일으키지 않음 치료 신속한 수분 보충, 증상이 심할 경우 항생제 치료 예방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음식 익혀 먹고 물 끓여 마시기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조리된 음식은 소량씩 60도 이상, 5도 이하에서 보관하고, 냉장 시 반드시 식혀서 냉장고..
식중독 증상 및 치료 예방 식중독균 번식 및 식중독 증상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독소, 화학물질 등의 유해 물질 오염에 의함 우리나라는 주로 8~9월에 연간 환자의 절반이 발생 25도 이상에서 6∼11시간 내에 번식 가능성 높음 1시간 ~ 72시간 사이에 먹은 음식 등에 의해 증상 발현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어지러움, 부정맥, 호흡곤란·마비 버섯 식중독 : 환각 복어 식중독 : ‘테트로톡신(tetrodotoxin)’ 에 의한 운동신경장애, ‘보툴리눔(Botulinum)’은 복시, 운동 장애, 대화 곤란, 눈꺼풀 처짐 등 포도상구균, 세레우스, 노로바이러스 고열 동반 시 살모넬라균, 세균성 이질 의심 식중독 치료방법 약물 치료, 항생제 치료 수분 섭취하기 장내 식중독균이나 독소 배출을 위해 지사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