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고혈압

반응형

 

고혈압 식이요법

 

(1) 기본수칙

 

혈압을 낮추기 위해 고혈압치료제를 복용하면서 식이요법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좋다. 식이요법은 6개월 정도 실시하며 6개월 만에 완쾌에 가깝게 된다.

 

 

1) 혈압과 염분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혈압의 정도에 따라 염분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짜게 먹는 식습관은 고혈압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염분농도가 높은 음식 섭취를 줄인다. 1일 10mg 이상 섭취는 해롭다.

하루 평균 염분섭취량을 평소 식사의 반으로 제한하면 고혈압은 거의 발생하지 않음.

-중증의 고혈압 : 염분 2g 이하로 제한(된장, 간장 등의 식품 내 함유량)

-경증의 고혈압 : 염분 10g 이하로 제한

 

2) 체중과 혈압은 대체로 정비례하므로 체중을 감소하면 혈압은 그만큼 떨어진다. 

비만인 사람은 정상인보다 고혈압 발생률이 3배나 높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칼로리를 감소하여 체중을 줄이도록 한다. 단, 금식은 피한다. 체중만 줄이고 염분을 제한하지 않은 경우도 환자의 75%가 정상이 될 수 있다.

 

3) 마른 사람은 표준체중을 항상 유지하도록 한다. 표준 체중 = (신장 - 100) x 0.9 키 170은 63kg이 표준

 

4)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구성은 65% : 15% : 20%로 하며 동물성 지방의 감소를 목적으로 감식을 실천한다.

감식을 시작한지 1주일 이내에 현기증이나 무력감을 느낄 경우,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탈수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수분량을 평소보다 늘려서 섭취한다. 동물성 지방은 콜레스테롤이 들어 있으므로 되도록 적게 먹는 것이 좋다.

 

5) 살이 빠지도록 음식 섭취를 제한하거나 한꺼번에 과식을 하면 식후, 일시적으로 혈압이 오를 염려가 있으므로 유의한다. 과음, 과식을 피하면서 식사를 정량의 80%만 섭취한다.

 

6)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하되, 동물성 단백질은 제한한다. 단백질의 충분한 섭취는 식염의 혈압상승을 억제한다. 단백질이 부족하면 고혈압에서 뇌졸중으로 진전될 확률이 높다. 

 

7) 칼륨과 칼슘을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이들은 식염에 의한 혈압 상승을 억제하며, 칼슘 부족은 혈액의 산성화를 초래한다. 음식을 짜게 먹어 고혈압이 되었을 때는 칼륨을 섭취하면 혈압이 내려간다.

 

8) 야채나 해초 등의 식물섬유를 피한다. 식물섬유는 식염에 의한 혈압 상승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다.

 

9) 1일 3회씩 일정한 시간에 식사를 하되 즐거운 기분으로 한다.

 

10) 당분의 과잉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흰 설탕 등 단것을 과식하면 혈관을 노화시켜 혈액 순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11) 음식을 싱겁게 해 먹고 특히, 짠 음식은 피해야 한다. 음식에는 소금 대신 대용 소금, 무염간장, 식초, 레몬, 겨자, 후추 등을 사용해도 좋다.

 

12) 비타민, 미네랄을 많이 섭취하여 신체의 생리작용을 조정한다. 비타민 A, B1, B2, B6 함유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남성은 1,600Kcal 전후, 여성은 1,400Kcal 전후로 열량을 섭취하고 한 달에 1~2kg 정도의 감량을 목표로 한다.

 

14) 음식물에는 화학조미료를 넣지 말고, 생선 섭취 시에는 지방이 많은 것을 피한다.

 

15) 3개월간 채식을 영양적으로 균형 있게 섭취하도록 한다.

 

16) 몸안의 효소작용을 높이기 위해, 채소에 묻은 농약은 잘 씻어내어 사용하고, 방부제 함유 식품, 항생제 등을 피한다.

 

17) 고혈압을 치료하는 동안에는 금주하는 것이 좋으며, 불가피한 경우 소량 마신다.

 

18) 염분을 많이 섭취한 경우는 물을 많이 마셔서 소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다.

 

19) 야간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는 실내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한다. 외부의 찬 공기를 갑자기 쏘이면 혈관 수축으로 혈압상승이 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0) 고혈압 환자가 담배를 피우거나 술과 커피를 과다하게 먹는 것은 극히 나쁘며, 음주 후의 섹스는 자살행위이다. 특히, 얼굴색이 변하거나 숨 가쁨, 가슴 울렁거림 등은 심장에 무리가 오는 것이므로 금주해야 한다.

 

21) 6개월간 식이요법을 실천하여 혈압이 정상화되더라도 하루 10kg 이하로 염분을 억제한다.

 

 

(2) 적극 취할 것

 

1) 주식 - 쌀밥 대신 보리밥, 조밥, 빵 등

 

2) 칼륨 함유 식품 - 사과, 호박, 감자, 무

 

3) 단백질 함유식품 - 생선, 계란, 두부, 순두부, 두유, 비지, 우유, 유제품

 

4) 식물섬유 식품 - 녹황색 채소, 야채샐러드, 해초, 과일, 감귤류, 깨 무침

 

5) 고혈압 예방 식품 - 다시마, 김, 미역, 땅콩

 

6) 비타민(B1, B2, B6) 함유 식품 - 콩류, 효모, 탈지유, 마늘, 부추, 파

 

7) 김치류는 물김치, 겉절이를 먹고, 장아찌 대신 신선한 채소를 먹는다.

 

8) 혈압 강하식품 - 표고버섯, 가지, 귤, 인삼, 메밀

 

9) 곡류 및 다류 - 잡곡, 현미, 율무, 생강차, 인삼차

 

 

 

(3) 적극 피할 것

 

1) 소금이 많이 함유된 식품 - 김치, 젓갈류, 장아찌, 게, 새우, 조개, 간장, 된장, 고추장

 

2) 육류 - 쇠고기, 돼지고기(비계, 내장), 간, 햄, 베이컨(중증의 고혈압일 때), 소시지, 생선묵

 

3) 카페인, 지방 함유 식품 - 커피, 홍차, 버터, 마가린, 쇼트닝, 치즈

 

4) 곡류 - 팥, 강낭콩(중증의 고혈압일 때), 호도, 잣, 참깨, 백미, 정맥분

 

5) 어패류 - 대구(중증의 고혈압), 삼치, 조개류, 정어리, 오징어, 문어 말린 것

 

6) 기타 - 흰 설탕, 난황, 국수, 우동(가락국수) 국물

 

 

(4) 적게 먹거나 삼갈 것

 

1) 간식, 야식 - 과자, 감자튀김, 케이크, 떡, 도넛, 초콜릿, 캐러멜, 치즈, 중국음식

 

2) 식욕을 돋우는 향신료 - 아이스크림, 맥주, 과당이 많은 주스류, 빙과류, 콜라

 

3) 기타 가공식품, 인스턴트식품

 

 

(5) 식사 기준

구분

종류

섭취량

주식

밥, 빵, 육류, 계란

보통 섭취

제한

대두, 대두 제품, 어패류

많이 섭취

부식

야채

보통 섭취

우유, 유제품, 녹황색 채소, 고구마, 호박, 해초, 버섯, 과일

많이 섭취

기타

알코올, 카페인, 탄산음료

적극 삼가

식초, 식물성 기름

많이 섭취

소금, 간장, 된장

적극 삼가

과자류, 설탕

삼가

 

 

 

(6) 고혈압 식단 예

구분

아침

점심

저녁

메뉴명

쌀밥 2 공기

된장국 15g

두부, 채소조림

+두부 2/3, 양배추 1/2,

표고 2개, 강낭콩 5g

+당근 20g

쌀밥 2 공기

닭고기볶음

삶은 감자

(감자 10g, 양배추 1/3

당근 20g)

샐러드

(토마토 1/7, 오이 1/5

양상추 10g,

마카로니 1/2)

쌀밥 230g

생선구이, 무즙 100g

가지구이 60g

시금치나물 60g

과일(수박) 200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