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반응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1) 설사형인 경우는 장관을 자극하는 식물섬유 식품을 제한하고, 변비형인 경우는 반대로 통변을 위해 이들의 제한을 완화한다.

단, 과식하면 장관을 자극하게 되어 복통의 원인이 됨.

 

2) 증상이 심한 경우는 입원하여 금식 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3) 스트레스도 유발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고, 특히 직장이나 가정에서의 정신적인 긴장, 트러블이 있으면, 그것을 제거하도록 한 다.

 

4)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지나치게 뜨겁거나 찬 음식은 피한다.

 

5) 장관을 자극할만한 음식, 음료를 금하고, 향신료도 제한하면서 사용한다.

 

6) 익힌 야채류 등 부드러운 섬유류는 적극 섭취하는 것이 좋다.

 

7) 자극성 음식을 피하고, 가스가 많은 사람은 콩류, 감자 등을 피한다.

 

8) 과음, 과식, 과로를 피하도록 한다.

 

9)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10) 음식은 필요한 열량, 단백질, 비타민을 섭취한다.

 

11) 과도한 흡연, 알콜 등을 삼가야 한다.

 

12)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것, 자극성 물질은 피한다.

 

13) 적당한 운동과 휴식을 취한다.

 

14) 규칙적이고 여유있는 생활을 하도록 한다.

 

15) 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도록 하고, 환경 조성 등 정신적인 치료와 훈련 요법을 실시한다.

 

16) 냉한 곳에 몸을 노출시키는 것을 피한다.

 

 

 

(2) 적극 취할 것

 

 

1) 식물섬유식품 ; 콩류, 해조, 버섯, 야채, 바나나, 사과, 파인애플

 

 

 

(3) 적극 피할 것 

 

 

1) 우유, 유제품 : 치즈, 요구르트, 케이크, 크림수프

 

2) 주류 : 맥주

 

3) 카레, 후추, 우엉, 콩류

 

4) 가스가 많은 사람 : 콩류, 우엉, 감자류

 

 

(4) 식사 기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