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담낭염의 식이요법은 병원에서 급성기와 회복기를 보내고 가정에서 실시하는 식생활 수칙을 일컫는데, 되도록 담낭의 안정을 유지하고 담석의 재료가 되는 것을 제한한다.
1) 발작이 있으면 금식을 하고 정맥주사로 영양공급을 받으며, 증상이 사라짐에 따라 유동식, 반유동식으로 교체해 간다.
2) 담석의 재료가 되는 콜레스테롤을 방지하기 위해 지방의 과잉섭취를 삼간다.
안정기에 접어들면 튀긴 음식 등 기름기 있는 음식을 삼가하는 정도로 제한한다.
구역이나 불쾌감이 없으면 지방을 소량 섭취하여 열량을 높인다.
장기간 지방 섭취를 제한하는 경우는 상태를 보면서 소량씩 섭취한다.
단, 동물성 지방은 피하고, 소고기도 지방이 적은 대퇴부 살을 선택한다.
3) 담낭에 완전한 영양소인 당질은 필요량을 충족시킨다.
단맛이 너무 강한 것은 피한다.
4) 식사는 거르지 말고,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해야 한다.
식사 간격이 길어지면 담즙이 농축되어 통증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5) 만성적인 담낭염일 때는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식사에 주의한다.
지나치게 뜨겁거나 차가운 것, 자극적인 음식, 폭음, 폭식을 피한다.
지방은 35~40g 정도로 섭취량을 억제한다.
6) 신선한 야채나, 과일을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한다.
7) 카페인 음료, 알코올, 탄산음료, 향신료의 과도한 사용을 금한다.
담낭 수축을 촉진하여 통증 등을 유발함으로 주의한다.
8) 날계란이나 다량의 버터, 크림은 피하도록 한다.
담낭을 수축시켜 통증을 유발하기 쉬운 식품이므로 주의한다.
9) 담낭에 완전한 식품인 단백질 함유 식품을 섭취한다.
단백질은 1.5~2.0g/kg으로 하여 하루 평균 70g을 섭취
10) 담석 발작이 있을 때나, 직후, 간헐적으로 있을 때, 기름 섭취를 금한다.
만성인 경우는 조미료로서 1일 10g, 버터는 1일 5g 정도, 식물성 기름은 콜레스테롤을 막는 작용이 있으므로 5~10g 정도 사용함.
11) 총열량은 표준체중일 때 1800~2000 cal를 섭취한다.
12) 급성기가 지나면 급성간염의 식이요법에 준하는 식생활을 한다.
13) 자극성 물질의 섭취를 삼간다.
14)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섭취한다.
15)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한다.
16) 가공식품, 염분, 지방이 많은 식품은 삼간다.
17) 급성기, 발작 시에는 계란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날계란은 작용이 강하므로, 익힌 상태의 반숙 계란으로 먹는 것이 좋다.
(2) 적극 취할 것
담낭염에 좋은 식품
1) 단백질 식품
우유 1일 1개(200ml) 정도, 계란, 콩, 넙치, 다랑어, 전갱이, 가다랑어 등 생선 류, 지방분이 적은 쇠고기, 닭고기
2) 당질 식품 : 감자, 과일, 설탕
간식으로는 젤리, 카스텔라, 쌀밥, 감자류, 쌀밥 대신 빵, 우동도 괜찮다.
(3) 적게 먹거나 삼갈 것
1) 가공식품 : 소시지, 햄, 베이컨
2) 동물성 지방 : 치즈유
(4) 적극 피할 것
1) 날계란, 버터, 크림
2) 지방 함유 식품 : 튀긴음식, 중국음식
3) 콜레스테롤 함유식품 : 난황
4) 커피, 콜라, 홍차
(5) 식사 기준
구분 | 종류 | 섭취량 |
주식 | 밥, 빵, 면 | 보통으로 섭취 |
고기, 어패류(지방이 적은 것) | 보통으로 섭취 | |
야채, 해조, 버섯 | 보통으로 섭취 | |
계란 | 삼가 | |
대두, 콩제품 | 많이 섭취 | |
부식 | 과일, 우유, 유제품 | 보통으로 섭취 |
알콜, 탄산음료, 카페인음료 | 되도록 삼가 | |
설탕, 소금, 간장, 된장, 식초 | 보통으로 섭취 | |
과자, 기름, 향신료 | 삼가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