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식이요법
(1) 식이요법 기본수칙
한번 생긴 담석을 식이요법으로 용해시키거나 제거할 수는 없으며, 담석을 예방하거나, 동통 발작을 일으키지 않거나,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데 식이요법의 목적이 있다.
1) 급성기에는 지방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특히 비만인 사람은 지방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기름기 있는 음식을 금하며, 육류나, 어패류도 지방 함유량이 적은 것을 섭취한다.
급성기 증상이 사라지면 지방은 삼가는 정도로 하여, 식물류는 하루에 큰 숟가락 하나 이하를 사용한다.
2) 황달이 있으면 지방은 10g, 증상이 없어져도 30g 이내로 제한한다.
3)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폭음, 폭식, 자극성 식품은 삼간다.
4) 회복기에 들어서도 처음에는 기름기 있는 음식을 일체 금한다.
자각 증상이 없어지고 전죽을 먹을 수 있을 정도가 되면, 생버터 (5g) 부터 먹기 시작한다.
5) 지방을 제한하는 나머지 단백질 부족이 되지 않도록 한다.
6) 콜레스테롤 함량이 많은 식품이나 동물성 유지류를 엄격히 제한한다.
7) 복통, 발작을 일으키기 쉬울 때는 지방을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단, 아무렇지 않을 때까지 극단적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8) 식물섬유가 함유된 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이들을 오랜 세월 계속 섭취하면 담석증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생기더라도 음식물중의 콜레스테롤에 식물섬유가 흡착해서 단시간내에 변으로 배설되므로 담석의 재료를 줄이게 된다.
9) 알콜, 카페인음료, 탄산음료, 향신료 등 자극성 식품을 피한다.
담석증으로 진단을 받았을 때 실행하도록 한다.
10) 고기나 생선 등의 단백질 제한은 영양장해를 일으키므로 지방분이 적은 단백질 식품을 선택하여 익혀 먹도록 한다.
단백질은 체중 kg 당 1.5~2.0g으로 하고 평균 1일 70g으로 한다.
11) 혈중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한다. 미강유, 홍화유
12) 비타민, 미네랄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비타민, 미네랄은 영양소의 대사가 잘 되도록 하며 저항력을 주고, 감염증을 방지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적극 취할 것
1) 단백질식품 : 지방이 적은 쇠고기, 닭고기, 흰살 생선, 두부 등은 주식으로 한다.
2) 식물섬유식품 : 김, 미역, 야채, 과일, 곡류
3) 당질식품 : 쌀밥, 감자류, 과일, 과자류, 쌀밥대신 빵, 우유 등도 좋다.
4) 현미, 대두, 버지
5) 오트밀, 콘프레이크
(3) 적극 피할 것
1) 지방함유식품 : 중국음식, 뱀장어, 생선묵, 버터, 튀긴음식
2) 콜레스테롤함유식품 : 난황
(4) 적게 먹거나 삼가할 것
1) 육류의 기름기, 버터 등 동물성 기름
2) 문어, 오징어, 새우, 간, 낙지
3) 커피, 주류
(5) 식사기준
구분 | 종류 | 섭취량 |
주식 | 밥, 빵 | 많이 섭취 |
콘프레이크, 오트밀, 콩, 콩제품, 계란 | 되도록 삼가 | |
육류, 어패류 | 보통으로 섭취 | |
부식 | 해조, 버섯 | 많이 섭취 |
우유, 유제품, 야채, 과일 | 많이 섭취 | |
기타 | 과자류 | 삼가 |
알콜, 카페인, 탄산음료 | 되도록 삼가 | |
설탕, 소금, 간장, 된장, 식초 | 보통으로 섭취 | |
향신료 | 삼가 |
(6) 식 단 예
구분 | 아침 | 간식 | 점심 | 간식 | 저녁 |
메뉴 |
밥(빵) 버터, 잼, 과일샐러드 (사과 1/3, 바나나 1/2, 귤 1, 요구르트 1/3) 저지방우유 200ml |
차 카스테라 |
쌀밥 닭고기, 두부요리 (두부 1/2, 배추 1잎, 닭고기 60g, 쑥갓 1과 1/2, 양파, 유자) 무즙요리(무, 버섯) 무청,김치 |
요구르트 복숭아 통조림 |
쌀밥 된장국 생선찜 토란무침 고비무침 백김치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