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 치료법
허리 디스크 치료법에는 침, 물리치료, 전자침, 추나요법, 약침요법, 봉침요법, 테이프 요법, 턱관절 교정법, 척추의 상태에 따라서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요법 등이 있다.
(1) 추나요법
추나요법은 근육과 뼈를 밀고 당김으로써 척추의 잘못된 만곡을 바로잡아주어 몸의 자세를 바르게 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옛날부터 도인, 안마, 안교 등의 침이나 한약이 아닌 치료법이 전해져 내려왔으며 이러한 이론이 서양의 카이로프락틱에서도 응용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척추의 측만증, 전만증 등의 증세가 있을 때에 추나요법으로 바르게 해 준다.
(2) 약침요법
한약재를 정제하여 추출하여서 이 성분을 혈자리에 놓는 방법으로 침자리 고유의 효과에다 한약의 기의성분이 보충이 되어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체질에 따른 약침을 만들어서 각각의 체질에 따라서 시술을 한다. 유럽의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러시아 등에서도 동종요법에 의한 자연 약재를 이용한 약침이 나오며 이웃의 중국에서도 한약재에서 추출한 약침이 많이 나오고 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이제까지의 한약은 입을 통하여 복용함으로써 효과를 보았지만 소화기계가 약한 사람에게는 투여를 못하는 점이 있었으나 약침의 경우는 한약의 기성분을 이용하여 관련된 혈자리에 놓기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앞으로도 여러 난치병에 시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기도 하다.
(3) 봉침요법
꿀벌의 벌침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벌이 쏘았을 때 아픈 것을 이용하여 통증의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같은 것으로써 같은 것을 치료한다" 동종요법의 이론과 같다.
동종요법은 약 200년 전에 독일의 하네만에 의해서 밝혀진 의학이론으로 어떤 병을 일으키는 물질을 소량을 투여하면 그 병을 치료한다는 이론으로 현대의학이 가장 발달한 독일, 영국,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등에서도 서양의학을 견제하며 발달하여 왔다. 이렇듯 봉침요법은 우리나라뿐만이 아니고 히포크라테스 시대부터 벌침을 이용한 자료가 있으며, 현대에 와서는 프랑스, 러시아, 미국 등에서는 류머티즘 관절염, 각종의 통증의 조절에 이용하는 많은 연구 발표가 나와 있다. 발표된 연구내용을 보면 면역기능, 진통작용, 소염작용들에 탁월하다고 많이 나와 있다. 디스크의 치료에 있어서도 봉침의 역할은 매우 뛰어나다.
(4) 테이프 요법
테이프 요법은 추나요법으로 척추를 교정한 후에 척추에 영향을 주는 근육의 긴장과 이완을 파악하여 근육이 긴장이 된 곳에는 느슨하게 하여 주고 이완이 된 근육에는 근육의 힘을 실어주어 교정된 척추가 오래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방법이다. 우리 몸 안의 모든 뼈는 뼈 자체로는 형태를 유지할 수 없지만 주위에 붙어있는 근육과 인대에 의해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5) 턱관절 교정법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치아에 충격이 가거나 이가 빠지거나 잘못된 치아의 습관이 있거나 자세가 나쁘면 턱관절의 변화가 오게 되며 머리의 무게 중심도 변하게 된다.
우리의 머리의 무게는 약 5~8kg 정도의 무게를 갖고 있으며 머리의 위치에 따라서 머리의 무게 중심이 변하게 되고, 머리의 무게중심이 중심에서 많이 벗어나면 날수록 목이나 허리에 영향을 주어 디스크가 올 수 있다. 또한 턱관절의 균형이 안 맞게 되면 뇌와 척수의 균형이 깨어져서 뒤틀리게 되고 척추는 척수의 형태에 따라서 휘어지는 결과도 오게 된다. 가벼운 경우에는 입안에 끼는 기구로써 치료가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나 치아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치과의사의 전문치료가 필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