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간요법

식이요법 : 습진

반응형

 

습진 식이요법

 

 

 

[좋은 식품]

봉선화 잎, 생강, 굴, 쑥잎, 감

 

[ 증세 ]

피부병의 일종으로 주로 유해 화장품, 옻을 타는 것 등이 원인인데 빨간 반점이 생기거나 가려운 것이 특징이다. 심해지면 물집이 터져 진물이 나고 마르면 자연히 떨어지는데, 만성습진은 딱지가 떨어져도 다시 되풀이된다.

 

[ 처방 ]

1. 봉선화 잎을 찧어서 즙을 내어 종종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

 

2. 생강을 엷게 썰어서 붙여주면 낫는다.

 

3. 꿀을 물에 진하게 타서 3~4회만 발라 주면 낫는다.

 

4. 쑥잎 줄기와 고추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으로 개어 3~4회 바르면 특효가 있다.

 

5. 감 생것을 엷게 썰어서 3~4회 붙이면 특효가 있다.

 

* 물질을 많이 하는 주부들은 습진에 걸리기 쉬운데, 이때는 오배자 한 줌에 물을 충분히 부어 약 20분 정도 끓인 것을 식혀서 발라 준다. 물기가 마르면 다시 발라 주는 것을 반복한다. 가능한 한 물에 손을 대지 않는 저녁에 발라 주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4일 정도면 되고 무좀에도 효과적이다. 오배자는 유산, 수지, 당분, 지방, 볼식, 자산 등의 성분이 많이 들어있어 살균 방부작용이 있다. 때문에 귓병, 입병 등에 효과적이다.

 

* 무를 동글납작하게 썰어서 부위에 며칠 계속해서 문지르면 역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지네 3~5마리를 가루로 만들어 계란 흰자에 섞어서 하루에 한 번씩바른다.

 

* 나팔꽃의 잎과 씨를 한꺼번에 쪄낸 뒤 찧어서 부위에 바른다. 나팔꽃씨는 다 여물어 굳어지지 않는 것이 좋다.

 

* 유황과 백반을 섞은 뒤 가루로 만들어 부위에 바른다. 이때 유황과 백반의 양은 똑같이 하며 하루에 1-2회 일주일 정도 계속하면 좋은 효과가 난다.

 

* 꽈리를 짓찧어 즙을 낸 다음 그 즙을 환부에 수시로 바른다. 또 햇볕에 말렸다가 보드랍게 가루를 내 기름에 개어 바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