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일본뇌염' 감염병 증상 및 치료 (질병관리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반응형

일본뇌염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병

(질병관리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감염 경로 

  •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 빨간집 모기'에 물려서 감염

작은 빨간집 모기(매일신문, 그린포스트코리아)

 

증상

  • 대부분 무증상, 감염자의 250명 중 1명에서 증상 발현

-증상이 있을 경우 급성으로 진행하여 고열,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지각이상 등을 보이며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될 경우 의식장애, 경련 등에 이르며 약 30%에서 사망

-합병증 : 중추신경계 이상, 마비 등

 

치료

  •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호흡·순환장애, 세균감염에 대한 대증치료

일본뇌염은 효과적인 예방백신이 있으므로, 접종을 적극 권고합니다!!

 

구 분 백신 종류 접종 일정
2009.1.1 이후
출생한 어린이
(필수 예방접종)
불활성화 백신 총 5회 접종
- 1~2차(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
- 3차(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4차(만6세), 5차(만12세)
약독화 백신 총 2회 접종
- 1~2차(생후 12~35개월, 12개월 간격)
성인 불활성화 백신 총 3회 접종
- 1~2차(1개월 간격) - 3차(2차 접종 11개월 후)
재조합 키메라 바이러스 백신 총 1회 접종

*성인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유료 접종, 접종 백신 및 횟수 등은 의사와 상담 후 결정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 등 고위험군)


<모기예방수칙> 무엇보다 매개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 긴 소매의 옷, 품이 넓은 옷 착용하기
  • 야외 활동 시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기
  • 가정 내, 캠핑 등 야외 취침시 방충망 또는 모기장 사용하기
  •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물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하기

출처: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

 

 

반응형

 

일본뇌염 사백신 생백신

사백신이란 죽은 균의 일부를 이용하여 만든 항원을 몸 속에 주입함으로써 그 균에 대해 항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뜻한다. 아무래도 항체가 생기는 정도가 약하기 때문에 접종 횟수가 늘어난다.

생백신이란 살아있는 균을 배양한 후 그 균이 가지고 있는 독소를 약화시켜 접종하는 것으로써 흔히 약독화 생백신이라고 한다. 생백신 접종 시 다른 생백신을 접종할 경우 최소 한달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좋은데 이것은 한달 이내 다시 생백신을 접종할 경우 항체 생성 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일본 뇌염의 경우 사백신으로 접종하면 기초접종은 생후 12-24개월 사이에 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12개월 후 다시 1회 접종한다. 추가 접종은 만 6살과 만 12살에 각각 한번씩 접종하여 총 5회를 접종하게 된다.

생백신의 경우 생후 12-24개월 사이에 1회 접종, 12개월 후에 1회 접종, 만 6살에 추가접종 1회를 하여 총 3회만 접종하면 된다.

1회 접종비용은 사백신에 비해 생백신이 더 비싸지만 아이가 주사 맞는 것에 대해 공포가 심한 경우 상대적으로 횟수가 적은 생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두 백신 모두 횟수와 시기를 잘 맞춰서 접종할 경우 효과는 크게 차이가 없다.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생백신에서는 ▲ 국소 작용으로는 종창, 발적, 통증 등이며 ▲ 전신적으로는 구토, 발진(보이거나 만지는 것에 의해 알 수 있는 피부병변), 열, 보챔 등의 증상이 있다.

사백신의 경우 ▲ 국소적으로는 종창(조직이 커지거나 늘어남으로써 부어오르는 것), 발적(빨갛게 부어오름), 통증, 혈관이 붓는 증상 등이 나타나며 ▲ 전신적으로는 오한(몸에 열이 나면서 추위를 느끼는 것), 열, 두통, 피로함 등을 느끼며 드물게 중추 신경계(신체의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종합, 분석하는 신경기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제공-하이닥(www.hidoc.co.kr)

 

 

일본뇌염 예방접종 중 녹십자 사백신 (베로세포 배양 백신) 0.7mL 가격/비용의 평균가격은 43,729원이었습니다. 가장 저렴한 곳은 10,000원이었으며, 가장 비싼 곳은 100,000원이었습니다.
-모두닥

 

 

일본뇌염 예방접종 가격은? (2022) | 병원 리뷰/후기는 모두닥!

일본뇌염 예방접종 중 녹십자/보령 사백신(불활성화 백신)과 씨디.제박스 생백신(약독화 생백신)은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이며, 접종 비용은 국가에서 지원을 합니다. 보건소 및 지

www.modoodoc.com

 

 

 

#일본뇌염 #모기예방수칙 #작은빨간집모기 #일본뇌염 사백신 #일본뇌염 예방접종 #일본뇌염 생백신 #일본뇌염 접종열 #일본뇌염 3차 #일본뇌염 4차 #일본뇌염모기 #돌아기 일본뇌염 #일본뇌염 생백신 사백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