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효능

참외의 효능 : 체기, 번열증,

반응형

 

 

 

체하면 참외를 먹지만, 참외에 체하면?


<동국세시기>에 "첨과서과위척서지수: 참외와 수박은 더위를 씻어내는 음식"이라고 하였듯이 수박과 참외(첨과, 진과)는 여름 과일의 여왕이다. 고려청자로 된 과형기물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도 참외가 옛날부터 사랑받은 과일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첨과: 성질은 차며 맛이 달고 유독(혹은 독이 없다고도 한다)하며 갈증을 멈추고 번열증(신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구역질·수면불안을 느낌)을 고치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뱃속의 답답한 기운을 없애며, 구비의 창을 다스린다. 너무 많이 먹으면 냉증이 생겨 배탈이 나고 팔다리에 힘이 없어진다."

 


또한 물에 가라앉는 것과 참외 한개에 꼭지와 배꼽이 두 개씩 달린 것(양체, 양비)은 사람을 죽인다는 기재가 있는데 무슨 근거에서 일까. 참외 자체는 독이 없지만(많이 먹으면 배탈이 나는 정도), 참외 꼭지에는 독성이 있다. 한방에서는 과체라고 하며 "전신의 부종을 고치고 가루를 코에 넣으면 비육(콧속의 군산, 비용)을 없앤다. 또 황달증과 모든 과식을 다스리고 토하게 하는 약이며, 청과의 꼭지가 더 좋다"라고 되어 있다.


민간요법에서 참외 꼭지 말린것을 가루로 하여 코에 불어넣으면 노란 콧물이 나오면서 황달이 낫는다고 하지만 황달이라고 하는 것은 여러 가지 간 계통 질환의 증상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그렇게 간단하게 치료될 성질은 아니다.


참외 꼭지에는 멜로톡신(또는 엘라테린이라고도 함)이라는 고미질 성분이 들어 있어 이것이 독성이 강하여 구토를 일으키게 한다. 참외 자체에는 포도당, 서당 등의 당분과 프로테아제 등 효소도 들어 있어 좋은 과일이지만 자칫 많이 먹어 배탈 나기 쉬운 것이 흠이라면 흠일까. 참외씨는 과자라고 하여 글로불린, 글루텔린, 지방유 등의 성분이 들어 있는데 한방에서는 구취 나는데 찧어서 입에 물도록 했다.


당나라 재상 왕탁이가 희첩을 수백 명이나 거느리고 있었는데 그들 일행이 지나가기만 하면 그 일대 수십 리 사방의 참외가 모두 열매를 열지 못했다. 그 여자들이 몸에 지니고 있는 향료(사향)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져 그때부터 참외 먹고 체한 데는 사향이 약이 되었다고 한다. <동의보감>에도 참외 꼭지를 사향으로 푼다는 처방이 있다. 

 

사향은 사향노루의 사향샘을 건조하여 얻는 향료인데 어두운 갈색 가루로 향기가 매우 강하다강심제각성제 따위에 약재로 쓴다. 암컷을 유혹하는 것이 바로 사향인데 여인들이 향료로 몸에 지니고 다녔다.

체한 과일은 주로 그 과일의 껍질을 끓인 물을 먹어 체기를 없애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