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상식177

반응형
독감 예방 접종 인플루엔자 국가 지원 안내(13세, 65세, 임신부) 질병관리청 한 번의 예방접종으로 엄마와 아기 모두 지켜요! 임신부 누구나 2022~2023절기 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안내 지원대상 : 임신 여부를 확인한 임신부(산모수첩 등) *임신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임신 주수에 상관없이 접종 가능합니다. 지원기간 : 2022.10.5.(수) ~ 2023.4.30.(일) 접종기관 :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보건소는 방문 전 확인 필수) 의료기관 방문 시 지켜주세요! 1. 건강상태가 좋은날 예방접종 하기 2. 보호자와 접종대상자 모두 마스크 착용 3. 손소독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 4. 대상자, 보호자는 코로나19 증상 있을 시 내원 전 알리기 5. 접종 후 현장에서 20~30분 머무르며 이상반응 관찰 후 귀가 예방..
무료 치료 가능한 '잠복 결핵 감염' 바로알기 질병관리청 결핵정책과 잠복결핵감염 바로알기 잠복결핵감염 치료 완료 시 83% 결핵 예방 잠복결핵감염 치료비는 무료 1. 잠복결핵감염이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감염되어 있지만, 몸 속에 들어온 결핵균이 활동하지 않아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증상없음, 전염성 없음, 환자 아님 => 치료 권고 2. 결핵 발병 가능성 10% 2년 이내 5%, 2년 이후 5% 결핵균 감염 시 총 10% 정도에서 결핵으로 발병 하루 평균 63명의 결핵 환자 발생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 1위 대한민국 3. 치료 시 83% 결핵 예방 잠복결핵감염 양성자가 치료를 받을 경우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에 비해 활동성 결핵 발생률을 약 83% 낮출 수 있습니다. *의사 상담에 ..
HPV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 지원 예방접종 안내 2022년 국가지원 대상 확대 HPV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으로 나를 지켜주세요! HPV 예방접종을 통해 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HPV 예방접종은 자궁경부암의 주원인이 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을 90% 이상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예방접종 지침서 제10판, Long-Term Effects of Human Papillomavirus Vaccination in Clinical Trials and Real-world Data: A Systematic Review, Kurosawa et al.,(2022, Vaccines)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예방접종 국가지원 대상 확대 자궁경부암 등의 질병 예방을 위해 대상을 확대하여 지원합니다. 기존..
수인성 · 식품 매개 감염병(세균, 바이러스 등 설사, 복통, 구토) 수인성 · 식품매개감염병 세균, 바이러스 등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해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감염병 예) #살모넬라균 감염증,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EHEC), #비브리오패혈증,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 예방수칙 1.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2. 음식은 충분히 익혀먹고 물은 끓여마시기 3. 채소나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4.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5.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6. 생선, 고기, 채소 도마 분리 사용하고 칼, 도마는 조리 후 소독하기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손바닥, 손등, 손가락 사이, 두 손 모아, 엄지 손가락, 손톱 밑
보이지 않는 살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 증상 및 특징 최선의 예방책은 물리지 않는 것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바로 알기!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쯔쯔가무시증, 라임병 등 SFTS의 경우 치명률이 높고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야외 농작업이 많은 농업인뿐만 아니라 주말농장, 등산을 하는 일반인도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종류 쯔쯔가무시증 정의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되는 열성 질환 발생 시기 : 연중 발생하나 10~12월에 주로 발생 잠복기 : 1~3주 증상 : 고열, 오한, 발진 등 특징 : 물린 부위 위에 검은 딱지가 관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정의 :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 주로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며,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종이 요로나 혈류 등 다른 부위로 유입되어 요로감염, 위장관염, 폐렴 및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감염을 일으키는 의료관련 감염병 카바페넴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 여러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려우며, 항생제 사용의 빈도가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인 문제입니다. CRE 감염증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CRE 감염증 환자 또는 병원체보유자와의 직·간접 접촉(특히 상처나 대변)을 통해 사람 간 전파가 이루어지며, 오염된 기구(의료장치 등)나 물품 등의 사용으로 상처, 수술을 통해 CRE 균이 몸 안으로 들어갔을 때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대부분은 단순 보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