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의 일곱 가지 좋은 점
인삼의 칠효설 한방에서 소갈이라고 하는 것 중에는 오늘날의 당뇨병 아닌 것도 포함되어 있으나, 당뇨병 증상에 대한 처방을 종합해 보면 당뇨병 통치약으로서 다음과 같은 생약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인삼, 생지황, 천문동, 생백피, 대황, 감초,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기, 맥문동, 오미자, 천화분, 황연, 우유 등을 각각 증상의 경중에 따라 서로 배합하여 처방하는 것이다. 인삼의 당뇨병에 대한 약리작용은 현대 약리학에서도 오래전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여 여러 가지의 인공적 과혈당증에 대해서 과혈당이 억제된다는 것이 보고되고, 인슐린과 비슷하며 오히려 부작용이 없다고 하였다. 한때 비과학적이라고 하여 한방의학을 배척하던 중국은 한방의 연구와 보급에 열심이며, 인삼에 대한 약리작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
강장제 녹용
강장제의 대명사 녹용 삼용은 인삼과 녹용의 뜻이지만 좀 더 넓은 의미로는 강장제를 대표하는 표현도 된다. 건재 약방 간판에 인삼과 녹용이 그려져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인삼의 성분이나 약리작용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연구가 많이 진척되어 정보가 제공되고 있지만 녹용에 대해서는 과학적 자료가 없다. 세종대왕의 세종지리지에 수록된 약재 생산지를 보면 녹용이 함경도, 평안도를 비롯하여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의 여러 곳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전라도는 산지가 많아 부안, 나주, 해진, 영광, 무장, 함평, 남평, 무안, 임실, 광양, 장흥, 낙안, 순천, 고흥, 동복, 제주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녹용은 녹각과 달라서 미처 각질화되지 않아 유연한 것이며 솜털이 돋은 가자 또는 버섯 모..
추남은 추어. 가을 남자 스태미너의 상징, 미꾸라지
가을 남자 스태미너의 상징 미꾸라지, 추어 미꾸라지는 성이 논하고 미감. 무독하다. 보중지설하며 추어라고도 한다. 보중이란 가슴과 배꼽 사이를 보한다는 뜻이다. 한방에서는 약성을 차가운 것, 더운 것 등으로 나누는데 에 나와 있는 미꾸라지는 성이 온하다. 추어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하고 비타민A, 크레아틴, 레아티닌, 스티딘, 르기닌 등의 아미노산과 끈적끈적한 점액질에는 위궤양을 방지해 주는 점액소 무친이 들어 있고, 또 이것을 가수분해하면 리보스, 글로코스, 갈락토스, 글루코스아민, 헥스우로닉산, 글루쿠론산 등으로 좋은 성분이 많다. 에는 미꾸라지의 효능을 난중 익기성주 보신 양시불기로, 배를 덥히고 원기를 돕고 술을 깨게 하고 스태미너를 보하며 양사불기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중국 요리의 '옥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