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연근과 노이로제

반응형

연근은 노이로제도 예방


음력으로 9월을 구월이라 하고 6월을 하월이라 하는데 하는 연이라는 뜻이다.

 

 

 

연꽃이 옛날부터 오탁 속에 물들지 않고 아름다움과 그윽한 향기를 자랑한다 하여 문인묵객이나 또는 불교도들에 의하여 화중군자니 극락정토의 꽃으로 사랑을 받아 왔다. 또한 훌륭한 보건약으로도 전해지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과학적 뒷받침은 없다.

 

 

연근은 식탁의 반찬으로도 친숙하지만 약으로도 '우'라고 하여 (더욱이 결절부가 더 약효가 있다 하며 우절이라고 함) 강장, 강정, 식욕 증진 등의 약효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오래 복용하면 신경 진정 작용이 있어 노이로제의 예방도 될 수 있다니 밥반찬 치고는 십상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더욱이 생즙을 내어 마시면 소화성 궤양의 출혈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은 그 수렴성 성분으로 보아 충분히 납득이 갈 수 있는 약효라고 볼 수 있다.

 

연실은 불로식품으로도 유명하지만 그 자체의 수명이 긴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보통 식물은 기껏 10년 정도의 수명이지만 연실은 1천 년 이상 묵은 것을 발아시킨 예도 있다. 이와 같은 내구성은 종자의 수분 함량이 적고 조직 호흡이 둔하며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의 안정성이 크기 때문이다.

 

연실의 분석 결과는 알칼로이드 넬룸빈을 비롯하여 전분, 환원당, 비환원당, 라후노즈, 지방유 등이 들어 있고, 속심에 조그만 싹이 있는 것을 한방에서 '연의' 또는 '연자심'이라고 하며, 그 성분으로서는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리엔시닌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성분이 증명되고 있으나 직접 강장, 불로 작용을 뒷받침할 만한 성분은 아직 규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한번 돌이켜 생각해 볼때 현재 인류의 주식물로 고정되어 있는 오곡 과채들이 과학적인 성분 분석의 결과로 개발된 것이 아니라 과학 이전의 요원한 태고적부터 경험의 산물로 전승되어 내려온 것이며, 과학이 발달됨에 따라 타당성이 뒤따라가며 증명되고 있음을 볼 때 한방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약재들도 모두 그와 같은 경로에 의하여 계승되어 내려온 것이므로 우선 해독만 없다면 그대로 믿고 사용해보는 것도 의미있는 접근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