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독감 예방 접종 안내 (질병관리청) 독감 예방 접종 안내 질병관리청 독감은 독한 감기의 약자가 아닙니다. 독감 제대로 알아보기 날씨가 쌀쌀해지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독감! 인플루엔자는 흔히 독감이라고도 불리며, 인프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호흡기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의 임상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입원이 필요하거나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특히 만 65세 이상 어르신,어린이, 임신부, 폐질환/심장질환 환자, 특정 만성질환 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 등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습니다. 사계절 내내 걸릴 수 있는 감기와 달리 독감은 주로 겨울부터 봄까지 유행하는 것이 특징 독감 감기 인플루엔자 A,B,C 바이러스 원인 200여 가지 바이러스 갑자기 시작 서서히 38 이상 고열 드물다 ..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중대본 공식자료) 단계적 일상회복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1 거리두기 체계 운영 현황 1 거리두기 단계별 주요조치 ○ (단계)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적용 중 * 최근 국내 확진자 수는 수도권 1,043명, 비수도권 296명 (10월3주)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기준 ▸수도권 250명 미만 ▸전국 500명 미만 ▸수도권 250명 이상 ▸전국 500명 이상 ▸수도권 500명 이상 ▸전국 1,000명 이상 ▸수도권 1,000명 이상 ▸전국 2,000명 이상 주요 조치 ▪운영시간 등 제한 없음 ▪유흥시설,노래연습장 등 일부시설 24시까지 운영 ▪사적모임 8인까지 ▪유흥시설,노래연습장, 목욕장업 등 22시 이후 운영제한 ▪사적모임 10인까지(4+6) ▪클럽 등 집합금지 ▪식당까페, 학원 등 22시 이후..
항생제 내성 예방에 동참해 주세요!! 항생제 내성이란? 항상제* 오·남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용하고 있는 항생제가 병을 일으킨 세균을 더 이상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할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내성이 확산되면 세균감염으로 인한 치료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결국 단순한 상처에도 적절한 치료법을 찾지 못하고 목숨을 잃을 수 있음 *항생제 : 세균(박테리아)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항생제 내성 예방 수칙 1. 의사가 처방한 경우에만 항생제 복용하기 2. 처방받은 항생제는 용법과 기간을 지켜 복용하기 3. 남겨둔 항생제를 증상이 비슷하다고 하여 임의로 먹지 않기 4. 항생제는 다른 사람과 나눠먹지 않기 5. 손씻기 등 개인 위생을 청결히 하고, 예방접종으로 세균질환 사전에 예방하기
조류인플루엔자[AI] 증상 및 예방 안내 조류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이란?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체 감염에 의한 급성호흡기 감염병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 닭, 칠면조, 오리,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으로 폐사율 등 바이러스 병원성 정도에 따라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 조류인플루엔자 전파경로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가금류(닭, 오리, 칠면조 등)의 분변 접촉 또는 분변에 오염된 물건을 손으로 접촉한 후에 눈, 코, 입 등을 만졌을 때 전파 가능 조류인플루엔자 증상 발열, 기침, 근육통 등 전형적인 인플루엔자 유사증상 심한 경우 폐렴, 급성호흡기부전 등 중증 호흡기 질환 발생 가능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수칙 1. 축산 농가 및 철새 도래지 방문을 자제하고, 발생 지역 방문 시 소..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 코로나19 예방접종 미접종자 접종 안내 구분 1차 미접종자 2차 미접종자 접종간격 미경과 시 접종간격 경과 시 대상 18세 이상 성인 중 1차 접종 미접종자 1차 접종 완료자 중 배신별 접종간격 범위* 내의 대상자 *1차 접종 후 화이자 3~6주 모더나 4~6주 아스트라제네카 4~12주 1차 접종 완료자 중 백신별 접종 간격 최대 범위를 초과한 대상자 접종 방법 1. 현장 방문 - 별도 사전예약 없이 의료기관 보유물량 확인 후 당일 접종 2. 잔여백신 -SNS(네이버, 카카오) 당일 신속 예약서비스를 통한 잔여백신 예약 신청 3. 예비명단 -의료기관 문의 후 예비명단에 올려 잔여백신 접종 *접종 간격 미경과 대상자는 사전예약 누리집에서도 접종예약일 변경이 가능합니다.
파스 붙이는 법 (뒤통수, 팔꿈치, 손목, 어깨, 허리, 무릎, 발목) 1. 뒤통수가 땅길 때 2. 팔꿈치가 찌릿할 때 3. 손목뼈가 시큰할 때 4. 어깨가 아플 때 5. 허리가 아플 때 6. 무릎이 쑤실 때 7. 발목이 아플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