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1

반응형
고혈압 증상과 합병증 고혈압의 증상 1. 일반적인 증상과 진단 초기 고혈압 환자의 경우 두통, 견비통, 시력 장애, 현기증 등의 증세가 나타나 지속적인 고혈압 즉 혈압이 계속해서 높은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가슴이 답답하고 뒷골이 뻐근한 것 같은 가벼운 증세는 나타날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자각 증상을 느낄 수 없다. 고혈압으로 인해서 자각 증상을 느낄 때엔 이미 심혈관계에 이상이 온 상태이므로 이러한 심혈관계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 및 조기 치료를 실시해야 한다. 고혈압인가 아닌가를 알기 위해서는 최소한 3회 이상 혈압을 반복 측정하여 최고 혈압에서 20mmHg 변동이 있으면 이상이 있는 상태이다. 정확한 진단에 의한 조기관리는 고혈압으로 인한 2차적인 합병증을 막는 지..
고혈압의 정의와 원인 고혈압의 정의 고혈압은 정상보다 높은 혈압이 계속되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수축기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압이 90mmHg 이상일 경우를 고혈압이라고 하며, WHO에서는 확장기 혈압을 기준으로 고혈압을 3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정상 혈압 : 90mmHg이하(최근 80/120) 경증 고혈압 : 90~104mmHg(최근 90~99/140~159) 중등도 고혈압 : 105~114mmHg(최근 100~109/160~179) 중증 고혈압 : 115mmHg이상(최근 110~/180~) 고혈압의 원인 발생원인에 따라 속발성 고혈압(2차성) 본태성 고혈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본태성 고혈압이란 다른 병과는 관계없이 생긴 고혈압을 말하고 속발성 고혈압은 다른 병이 있어서 그 병으로 인해 생긴 고혈압을 말..
식이요법 : 감기 감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감기가 심하면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면서 영양공급을 해야 한다. 1)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감기에 걸리면 체온이 상승하는 만큼 에너지 소비량이 늘어나므로, 입에 맞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충분히 보충하도록 한 다. 2)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들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 열이 날때는 간장의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고, 단백질, 지방이 분해되며, 비타민 (A, B1, C), 나트륨 등의 소비량도 늘어나므로 이들을 충분히 보충해 주어야 한다. 3) 감기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유동식, 미음식을 주어, 영양분을 적극 공급해 주도록 한다. 4) 열이나..
식이요법 : 간염 간염 식이요법 (1) 기본지침 급성간염은 대부분이 발병된 지 3~6개월 만에 완치되며, B형 간염, 수혈에 의해 감염된 간염이 중증의 간염이나, 만성간염, 간경변으로 발전하기 쉬우므로 평소, 충분한 안정과 식이요법을 엄격히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1) 간기능을 회복시키려면 우선 하루에 필요한 열량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단, 에너지를 과잉 섭취하면 오히려 간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과식을 삼간다. 2) 급성간염의 경우 - 발견 초기에는 먹기 쉬운 죽이나 미음을 먹는다. - 식욕이 나기 시작하면 되도록 빨리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밥을 주식으로 먹는다. -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이 많이 함유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간 기능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 - 초기에는 황달 증세, 구역이 심하므로 소화..
식이요법 : 간경변 간경변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대상성 간경변 (전신권태, 식욕부진 등 가벼운 증상) 1) 탄수화물을 중심으로 충분한 에너지를 보급한다. 비만증이 함께 있는 경우는 약간 저에너지식으로 한다. 2) 고단백, 고비타민, 미네랄식이 고열량식과 함께 치료의 기본이 된다. 이들은 간장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특히 단백질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중 2/3 는 동물성 단백질이 차지하도록 한다. 단백질은 80~100g 이상, 총열량은 2000~3000kcal가 필요하다. 단백질은 간성뇌증예방을 위해 필요하므로, 바린, 로이신, 이소로이신(분지아 미노산)이 많은 식품을 선택하도록 한다. 단, 비만증이나 당뇨병이 합병된 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3) 식물섬유를 충분히 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