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료효능

창출의 효능 : 혈당 억제, 이뇨

반응형

 

혈당 억제, 이뇨 작용 창출 백출


우리나라에는 새로 이사 갈 집의 방, 부엌, 화장실 등에 창출이라는 한약을 태워서 연기를 가득 채운 다음 들어가는 풍습이 있다. 습기를 제거하고 귀신을 쫓기 위해서라고 하는데 창출이 향기로운 약초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훈연법에 의해서 환경을 청신하게 하는 동시에 오래 비워 두었던 방은 환기와 방충을 잘한 다음에 들어가야 한다는 선조의 지혜가 담겨있다고 하겠다.

 


<동의보감>에도 해울기 라고 하여 오래 비워 두었던 방에 무턱대고 들어가면 안 되고 창출, 조맥, 향료 등을 태워서 갇혀있던 울기를 소산 시킨 다음에 들어가야지 그냥 들어가면 병이 된다고 하였다.


창출, 백출은 같은 종류의 한약으로 백출은 어린 연한 뿌리로 만든것이고 창출은 나이 먹은 뿌리라고 되어 있는데, 옛날에는 두 가지의 구별이 없이 그냥 출이라고 하여 아주 중요한 보약이다.


우리나라를 풍미하던 보건약에 백보환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그게 백출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제였다고 한다. 달여서 오래 먹으면 경신연년하며 일명 산정이라고도 한다. <신농본초경>에 말하기를 장수하려면 산정을 장복하라 하였다.


이뇨, 건위작용이 있음이 현대 약학적으로 인정되어 약전에도 수재되어 있는 약재로서 한방 처방에서 아주 흔히 사용된다. 소화 기능을 촉진시키고 식욕을 돋운다는 평위산이라는 처방에도 창출이 주성분이다. 백출, 창출은 우리나라 여기저기서 자생하는 삽주나물의 뿌리이며 삽주나물은 그 어린싹을 나물로 먹기도 한다.


일본의 본초서를 보면 백출의 이명으로 사읍조근으로 쓰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삽주 뿌리의 이두로 우리의 향약명이 일본에까지 전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트락티롤, 에트락티론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성분이 들어 있으며 혈당 억제작용, 이뇨작용 등이 증명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