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풍 식이요법
(1) 기본수칙
통풍 치료에는 식이요법이 약물요법과 병행되어야 하며, 통풍은 고요산 혈증이 바탕이 되므로 통풍 재발을 막거나 고요산 혈증(요산이 혈액 속에이상 증가함)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면 식이요법이 제일 중요하다.
1) 요산의 재료가 되는 퓨린(동물성 단백질에 많은 핵단백질의 일종)의 섭취량을 1일 약 100~150mg으로 제한한다.
퓨린 함량이 높은 식품 섭취를 삼가거나 금지한다.
2) 과식을 절대 금한다.
3) 단백질 식품을 과식하지 않는다.
단백질 과잉 섭취는 요산 생성을 증대시키므로 1일 60~70g을 섭취한다.
4) 비만인 경우, 표준체중이나 표준체중의 10% 이하가 되도록 열량 섭취를 줄인다.
체중감량을 하면 대부분 요산치가 떨어진다.
단, 극심한 열량 제한은 고요산 혈증을 유발하므로 좋지 않다.
남성 비만인 경우, 1400~1800kcal, 여성 비만인 경우 1200~1600kcal의 열량을 기준으로 월 -1kg 정도 감량을 목표로 하면 좋다.
이 정도면 서서히 요산을 저하시킬 수 있다.
5) 지방은 1일 30g 내외로 제한하고 탄수화물은 많이 섭취한다.
요산 배설을 감소시키는 저지방식이 바람직하므로, 튀김이나 기름기 있는 고기, 생선 등은 이따금씩 먹는다.
6) 알코올은 과잉 섭취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허용될 수도 있으나 되도록 금주하도록 한다.
7) 요산을 적극적으로 배설하기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한다.
1일 소비량이 2000ml가 되도록 한다.
8) 비만인 사람은 당질을 제한해야 한다.
9) 수분을 1일 2~3l로 충분히 섭취한다.
(2) 적극 취할 것
1) 수분 함유 식품 : 수프, 죽, 음료
(3) 취할 것 (먹어도 괜찮은 것)
1) 곡류 : 쌀밥, 빵, 면(메밀국수, 가락국수), 스파게티, 옥수수
2) 유제품 : 우유, 치즈, 버터, 탈지유
3) 야채, 감자류 : 감자, 고구마, 토란, 토마토, 호박, 오이, 가지, 배추, 양배추
4) 미역, 다시마, 계란, 명란
5) 과일, 유지류, 식초, 소금, 간장, 꿀, 설탕, 커피, 코코아, 쵸코렛
(4) 삼갈 것
1) 고기 국물(곰탕 등), 정어리, 콩팥 요리
2) 돼지고기, 양고기, 닭고기, 쇠고기, 완두콩, 오트밀,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베이컨, 다랑어, 삼치, 송어, 참돔, 넙치, 청어, 옥돔, 방어, 연어, 은어, 꽁치, 미꾸라지, 모시조개, 낙지, 대구알, 돼지 등심살, 닭가슴살, 광어
(5) 적극 피할 것 (퓨란 함량이 많은 것)
1) 설탕을 넣은 홍차나 커피, 주스, 탄산음료 : 체중감량이 필요한 경우엔 제한한다.
2) 돼지 간, 소간, 정어리, 오징어, 참새우, 꽁치조림, 멸치, 고등어, 신장, 육즙, 어란
(4) 식사 기준
구 분 | 종 류 | 섭 취 |
주식 | 밥, 빵, 면 | 보통으로 섭취 |
고기, 생선, 대두, 콩제품 | 삼가 | |
생선, 고기의 내장류, 조개 | 금지 | |
계란 | 보통으로 섭취 | |
감자, 호박, 해조, 버섯 | 보통으로 섭취 | |
야채 | 많이 섭취 | |
부식 | 우유, 유제품, 과일, 과자 | 보통으로 섭취 |
카페인, 탄산음료 | 되도록 삼가 | |
알코올 | 금지 | |
기타 | 설탕, 식초, 향신료, 소금, 간장, 된장, 기름 | 보통으로 섭취 |
(5) 식단 예
구분 | 아침 | 점심 | 간식 | 저녁 |
메뉴 | 밥, 미역국, 배추김치, 달걀찜, 쑥갓나물, 우유(탈지유) | 밥, 콩나물국, 깍두기김치, 깻잎나물, 생선조림 | 샌드위치(잼), 오렌지 주스 | 밥, 감자국, 배추김치, 두부 조림, 무나물(오이), 과일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