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상식177

반응형
코로나 백신 후유증 모더나 1~5일차 걸스데이 박소진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유증 “무한 심장 쿵덕거림에 너무 놀라서 쓰던 백신 증상 후기 공유해본다” 접종 첫째 날(28일, 모더나 접종) "접종하고 30분 뒤부터 왼손 손등이랑 손바닥 지르르르. 얼굴도 몸도 왼쪽만 먹먹하고 지르르르, 커피 많이 마신 것처럼 심장이 콩닥콩닥. 낮잠 자고 나니 심장은 괜찮아졌다. 왼쪽 전체적으로 지르르르. 몸살 기운이 점점 생긴다. 두통이 있다. 새벽 몸살 기운에 잠을 깼다. 왼손 손가락 감각이 먹먹했고 특히 네 번째, 다섯 번째 손가락이 주먹 쥘 때 자연스럽지 않았다. 진통제를 3알 복용했다." 접종 둘째 날 “피곤하고 몸살 기운. 손가락 마디마디까지 아픔. 진통제 3알 복용” 접종 셋째 날 “눈에 생기가 돌기 시작. 졸린 건 아닌데 기운이 없어서 누워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 일정 (소아 청소년, 임신부, 추가접종 부스터샷) 코로나19 백신 접종 일정 소아 청소년, 임신부, 추가접종(부스터샷) 대상 연령대 일자 소아청소년 16~17세 10.5. ~ 10.29. 12~15세 10.18. ~ 11.12. 임신부 10.8. ~ 추가접종 (부스터샷) 60세 이상 및 고위험군 10.5. ~ 면역저하자 10.18. ~
추석 성묘·벌초 시 진드기 주의(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증상) 추석 성묘, 벌초 시 진드기 조심하세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쯔쯔가무시증 전파경로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사람이 물려 감염 증상 : 두통 발열, 오한, 구토, 발진, 가피(물린 부위 딱지) 등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전파경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 증상 : 고열(38~40℃), 구토, 설사, 혈뇨, 혈변 등 예방 수칙 야외 활동 전 1. 안전하게 옷 갖춰 입기(긴 팔, 긴 바지, 목이 긴 양말, 등산화 등) 2.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야외 활동 중 1. 휴식 시 돗자리 사용하기 2.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3.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숲에 앉지 않기 야외 활동 후 1. 귀가 즉시 옷 털어 세탁하기 ..
식중독 증상 및 치료 예방 식중독균 번식 및 식중독 증상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독소, 화학물질 등의 유해 물질 오염에 의함 우리나라는 주로 8~9월에 연간 환자의 절반이 발생 25도 이상에서 6∼11시간 내에 번식 가능성 높음 1시간 ~ 72시간 사이에 먹은 음식 등에 의해 증상 발현 구토, 설사, 복통, 발열, 두통, 오한, 근육통, 어지러움, 부정맥, 호흡곤란·마비 버섯 식중독 : 환각 복어 식중독 : ‘테트로톡신(tetrodotoxin)’ 에 의한 운동신경장애, ‘보툴리눔(Botulinum)’은 복시, 운동 장애, 대화 곤란, 눈꺼풀 처짐 등 포도상구균, 세레우스, 노로바이러스 고열 동반 시 살모넬라균, 세균성 이질 의심 식중독 치료방법 약물 치료, 항생제 치료 수분 섭취하기 장내 식중독균이나 독소 배출을 위해 지사제 ..
모기 퇴치 국민행동수칙 7 모기 감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7가지 행동 수칙을 확인하세요. 1. 집 주변 고여있는 물 없애기 - 화분 받침, 폐타이어, 용기 등에 고인 물 제거 2. 짙은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하기 3.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옷 착용 4. 모기퇴치제 올바로 사용하기 - 식약처에 등록된 제품 사용 - 용법 용량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 5. 과도한 음주 자제하기 6. 야외 활동 후 반드시 샤워하고 땀 제거하기 7. 잠들기 전, 집안 점검하기 - 모기살충제, 모기향 등 사용 후 반드시 환기 - 구멍난 방충망 확인 및 모기장 사용 감염병이 의심될 때, 질병정도 궁금할 때,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
유행성 각결막염 유행성 각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전염성 강한 바이러스성 결막염 전파 경로 눈의 분비물에 의한 직접 접촉 수건, 세면기구 등 물건을 통한 간접 접촉 수영장 등 물을 통한 전파 증상 양안 충혈 안구 통증 눈곱, 눈의 이물감, 눈부심 (어린이의 경우) 고열, 인후통, 설사 등 전신증상 동반 가능 예방법 1.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 2. 눈을 만지거나 비비지 않기 3. 수건이나 침구,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을 다른 사람과 같이 사용하지 않기 질병관리청 #결막염 치료 #결막염 증상 #결막염 전염 #결막염 원인 #각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 결막염 #각막염 증상 #공막염 #중심성 망막염 #결막모반제거 #활막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