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상식177

반응형
코로나19 예방 접종 사전예약 및 교차접종 시행계획(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 접종 3분기 시행계획 접종 목표 : 9월 말까지 3,600만 명, 3분기 2,200만 명 1차 접종 접종 대상 : 18~59세(임신부 제외) 접종 백신 : 5종 백신*, 약 8,000만 회분 공급 예정 *화이자, 모더나, AZ, 얀센, 노바백스(허가상황에 따라 유동적) 접종 기관 : 백신 다양화 및 화이자 백신 보관조건 변경에 따라, 접종기관(위탁의료기관, 예방접종센터, 보건소)의 다종백신 접종 준비 접종 일정 : 7월에는 6월 예약자 중 미접종자(최우선), 대입 수험생, 어린이집·유치원 및 초중고교 교직원, 50대(50~59세) 우선접종 -8월부터 40대 이사(18~49세)는 사전예약순서에 따라 접종 -7월 말부터 지자체 자율접종, 8월부터 사업체 자체접종 병행 하반기 AZ백신 2차 접..
대구 코로나19 발생 및 감염병 신고 현황 (국내외 돌파 감염 현황) 대구광역시 감염병 소식지 일별 사망, 확진, 격리해제 현황 감염원별/연령별/구군별 일일 발생 현황 심층역학조사 분석 / 신규환자 감염 경로 / 주요 집단사례 주요 집단발생 관계도 전수감시 감염병 신고 현황 주간 표본감시 현황 장관감염증 표본감시(바이러스성/세균성) 코로나19 돌파감염 관련
비브리오패혈증 전파경로 / 증상 / 치료 / 예방법 비브리오패혈증 치사율 50% 내외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염에 의한 급성 패혈증 비브리오패혈증 전파 경로 -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날로 먹거나 덜 익혀서 먹을 경우 감염 -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접촉할 때 감염 *사람 간 직접 전파는 없음 비브리오패혈증 증상 - 발열, 오한, 혈압 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발생하고, 1/3은 저혈압이 동반 - 대부분 증상 발생 24시간 내 피부 병변*이 생기고, 주로 다리에 발생(피부병변은 발진, 부종으로 시작하여 수포 또는 출혈성 수포를 형성한 후 점차 범위가 확대되고 괴사성 병변으로 진행) *피부 병변 : 병적 작용에 의하여 조직 등에 변화가 일어나 피부 세포나 조직에 일어나는 변화 비브리오패혈증 치료 - 적극적인 상처 치료 (병변 제거 등) - ..
백신 예방 접종자 방역 조치 완화 단계 (질병관리청 ) 예방접종에 따른 방역 조치 단계적 조정 방향 예방접종으로 일상 회복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완료자의 일상 회복을 지원하고, 예방접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예방접종에 따른 방역 조치가 단계적으로 조정됩니다. 고위험군 1차 접종 완료되는 7월부터 적용 예외적으로, 6월부터 일부 방역 조치 완화 시기 1차(6월 1일~) 2차(7월 첫 주 ~9월) 3차(10월 이후) 예방 접종 목표 60세 이상 고령자 1,300만명 1차 접종 완료 60세 미만 3,600만명(누적) 1차 접종 완료 60세 미만 3,600만명(누적) 2차 접종 완료 방역 조치 대상 예방 접종자 (1·2차) 예방접종 완료자 완화활동 가족 모임 (인원제한에서 제외) 사적 모임 등 (인원제한에서 제외) 사회적 거리 두기 전반 완화 마스크 착용..
[얀센·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혈전 증상 안내 얀센과 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혈전 부작용 가능성이 존재하는데, 백신 부작용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 또는 '희귀혈전증'으로 불린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Viral vector vaccine) 또는 바이오백신(biovaccine)은 목표 항원을 다른 바이러스를 운반체(Viral vector)로 하여 유전자 재조합된 백신의 한 유형이다. 보다 검증된 기존의 바이러스나 병원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목표 바이러스의 항원 정보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항체 형성 면역시스템이 적응하도록 도우며 이러한 맥락에서 신체가 항원항체반응를 학습하는데 주요한 접근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메커니즘은 생백신 수준의 저온 콜드체인(cold chain) 운반과정이 필요하게된다. '일반 혈전증*'은 혈..
여름 호흡기 질환 '레지오넬라증' 증상 및 예방 여름 호흡기 질환 '레지오넬라증' 레지오넬라증은 25∼45℃ 오염된 물에서 증식하는 레지오넬라균이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호흡기로 흡입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날씨가 더워지면서 냉방기 사용(6~8월)이 증가하면 따라서 발생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건물의 냉각탑수, 냉온수 시스템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소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된 물로 세척한 호흡치료기기나 분무기를 사용하였을때도 감염이 가능하다고 하니 주의하시기바랍니다. 레지오넬라증 감염 대상 - 누구에게나 감염될 수 있으나 만성폐질환자, 당뇨환자, 고혈압환자 등 만성질환자, 면역저하환자(스테로이드 사용자, 장기 이식환자), 50세 이상, 흡연자 등에서 잘 발생 증상 - 두통, 근육통, 허약감, 고열, 오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