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프로제증후군 (신증후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다량의 단백질이 소변과 함께 새어 나오는 병이므로, 약물요법 외에 안정 및 식이요법을 중심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 증상이 심한 악화기에는 엄격한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1)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소변으로 많은 양(1일 3g 이상)의 단백질이 손실되어 부종, 고지혈증, 저알부민혈증이 나타나므로 단백질을 보충해 주어야 함. 보통 단백질 필요량은 체중 kg 당 1.5g 정도이지만, 의사가 판단하는 환자의 병세 정도와 영양상태에 따라 그 필요량이 달라질 수 있다.
어린이는 체중 kg 당 2~3g의 단백질(동물성)이 필요하다.
신장기능이 저하된 사람은 뇨독증이 되지 않도록 신장의 기능 저하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을 줄인다.
2) 부종, 복수, 흉수 등이 나타나는 등 중증일때는 염분 섭취를 1일 0g으로 제한한다.
부종이 심할 때는 무염식으로 한다.
염분이 많은 가공식품을 피하고, 부종이 가벼워졌다가 사라지면 염분을 엄격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소금 2~4g)
이뇨제 등으로 부종을 치료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3) 경증일 때는 염분 섭취를 평소의 절반 정도(6~8g) 섭취한다.
부종이 감소하면 염분은 5g 정도로 제한하다가 8~10g 정도로 늘린다.
4)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하여야 한다.
섭취량이 적으면 단백질이 분해, 이용되므로, 탄수화물로 칼로리를 보충하도록 한다.
탄수화물로 2000~3000Kcal의 고에너지를 섭취하여 체단백질의 붕괴를 막고, 고지혈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섭취량이 적으면 단백질이 분해, 이용되므로, 탄수화물로 칼로리를 보충하도록 한다.
5) 수분섭취량을 제한해야 한다.
뇨량이 적은 대신 부종이 심하고, 복수, 흉수가 있으면 수분을 엄격히 제한한다.
전날의 소변량 + 500ml 정도의 수분을 섭취한다.
단, 이뇨제를 사용할 경우, 탈수 상태가 되지 않도록 수분 공급에 신경을 써야 한다.
우유, 유제품의 사용량에도 주의해야 한다.
6) 지방을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특히, 동물성 지방은 피하고, 버터,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맛과 열량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총 섭취 열량의 30% 이내로 줄인다. 지방 섭취는 1일 40g 정 도로 한다.
7) 콜레스테롤이 많은 음식은 소량씩 가끔 먹도록 한다.
8) 칼륨이 결핍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뇨제등을 사용하는 경우, 칼륨이 소변을 통해 배설되어 저칼륨혈증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9) 과식이나 불규칙한 식생활을 피하도록 한다.
10) 비타민, 미네랄을 섭취하되 자극성이 적은 채소나 과일을 택한다.
11) 회복기에 와서도 염분은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제한량을 준수하도록 한다.
12) 신장의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단백질 섭취량을 줄여야 한다.
13) 무염식을 오래 계속할 경우, 식욕감퇴로 인한 영양부족으로 전신쇠약이 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최선의 식이요법을 강구하도록 한다.
14) 자극성 식품을 피하도록 한다.
15) 알코올 섭취를 금한다. 단, 고혈압이나 심장병을 수반하지 않으면 음주나 기호식품은 소량 섭취해도 된다.
(2) 취할 것
1) 쌀밥, 빵, 기름류로 열량을 보충
2) 단백질 식품 : 우유(소변량이 적을 때는 금한다), 계란(중증일 때-난황, 경증일 때-1일 1~2 개), 치즈, 생선, 두부, 유부, 닭의 가슴살, 탈지분유
3) 비타민, 미네랄 함유 식품, 채소, 과일류 : 시금치, 호박, 감자, 당근, 토마토, 배추, 우엉, 바나나, 딸기, 사과, 감귤, 감, 레몬, 고구마, 설탕, 배, 포도
4) 칼륨 함유 식품 : 버섯, 우엉 등 야채류, 딸기, 배, 파인애플, 멜론, 밀감, 오렌지, 바나나 등 과일, 정어리, 연어, 고등어, 조개류, 커피, 밀크, 호도, 땅콩, 밤, 고구마
5) 조미료 : 식초, 설탕, 토마토소스, 감염된장
(3) 적게 먹거나 삼갈 것
1) 콜레스테롤이 많은 식품 : 오징어, 새우, 굴, 쇠간, 난황, 장어, 메추리알
(4) 적극 피할 것
1) 자극이 강한 향신료 : 고추, 겨자, 후추, 마늘, 카레가루, 생강
2) 육류, 조류 가공식품, 지방이 많은 생선
3) 기타 : 건어물, 젓갈, 소금, 간장, 된장, 술
4) 야채류 : 두릅
(5) 식사 기준
(6) 식단 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