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신경통 신경통 식이요법 [좋은 식품] 월계수 잎, 율무, 구기자, 연의 연밥, 땅두릅, 인동, 쑥 [ 증세 ] 증세는 여러 가지 있지만 특히 복통으로 그 통증이 엉덩이로부터 넓적다리 뒤쪽으로 하여 무릎 아래까지 저리며 한쪽의 통증이 더 심한 경우도 있다. [ 처방 ] 1. 월계수 잎에서 짜낸 월계유를 통증이 있는 주위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2. 율무와 구기자를 넣고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복용한다. 3. 오가피의 노근을 껍질을 벗기고 말린 다음 1일 2근씩을 달여서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4. 연밥(벌집처럼 생긴 연밥 속의 열매)을 1회 5~10g씩 물 2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매일 2~3회 식전으로 2~3주일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5. 인동 풀을 풀어 넣고 목욕을 하면 효과가 있다. 6. 두릅의 ..
식이요법 : 신경쇠약 신경쇠약 식이요법 [좋은 식품] 대추씨, 매실, 연 잎사귀, 연 열매 [ 증세 ] 피로로 인한 자극성 쇠약 질환으로, 신경계의 격변과 발작으로 인해 매사를 비관하기 쉽고 일에 끈기가 없어져 권태나 피로가 빨리 오며, 기억력 감퇴 및 불면증에 걸리기 쉽다. [ 처방 ] 1. 대추씨(산조인)에 약간의 감초를 넣어 서서히 달여서 1일 2회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2.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넓은 그릇에 담아서 햇볕이나 열로 수분을 증발시키면 매실진액이 되는데, 신경성으로 오는 쇠약 증세일 때는 콩알만 하게 환을 지은 진액을 물로 매일 3회로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연 잎사귀 말린 것을 1회 50g, 물 3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1주일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4. 거피 낸 연의 열..
식이요법 : 산후통증 산후통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유자껍질, 메밀, 잉어, 쑥, 뽕나무, 귤, 대추, 마늘, 호박, 염소 [ 증세 ] 전반적으로 해산 후의 조섭을 말한다. [ 처방 ] 1. 유자 껍질을 달여서 1~2컵 마시면 즉효가 있으며, 특히 복통에 좋다. 2. 메밀을 볶아서 분말로 만들어 한 숟갈씩 따뜻한 물 한 컵과 마시면 즉효가 있다. 3. 잉어를 푹 삶아서 따뜻할 때 한 마리 정도 먹으면 특효가 있다. 특히 복통에 좋으며 젖이 잘 나온다. 4. 방을 덥게 하고 쑥잎과 뽕 잎사귀를 자리에 깔아놓은 다음 그 위에 누워서 땀을 푹 내면 즉효가 있다. 특히 팔, 다리가 마비되어 자유롭지 못할 때 좋다. 5. 대추(묵은 대추) 2홉을 푹 달여서 1~2회 마시면 특효가 있다. 특히 산후에 허리가 뻐근한 통증이 있을 때 효..
식이요법 : 습진 습진 식이요법 [좋은 식품] 봉선화 잎, 생강, 굴, 쑥잎, 감 [ 증세 ] 피부병의 일종으로 주로 유해 화장품, 옻을 타는 것 등이 원인인데 빨간 반점이 생기거나 가려운 것이 특징이다. 심해지면 물집이 터져 진물이 나고 마르면 자연히 떨어지는데, 만성습진은 딱지가 떨어져도 다시 되풀이된다. [ 처방 ] 1. 봉선화 잎을 찧어서 즙을 내어 종종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 2. 생강을 엷게 썰어서 붙여주면 낫는다. 3. 꿀을 물에 진하게 타서 3~4회만 발라 주면 낫는다. 4. 쑥잎 줄기와 고추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으로 개어 3~4회 바르면 특효가 있다. 5. 감 생것을 엷게 썰어서 3~4회 붙이면 특효가 있다. * 물질을 많이 하는 주부들은 습진에 걸리기 쉬운데, 이때는 오배자 한 줌에 물을 충분히 ..
식이요법 :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식이요법 [좋은 식품] 다시마, 밤, 대추, 콩(검은콩), 은행, 팥, 상치, 호박, 민들레, 전복, 대구, 수세미, 완두 [ 증세 ] 전반적으로 아이를 낳은 어머니의 젖이 부족한 경우를 일컫는다. [ 처방 ] 1. 다시마, 계란, 된장을 적당히 넣어 찹쌀죽을 만들어 먹으면 젖이 잘 나오며 보양에도 좋다. 2. 팥과 현미로 팥죽을 만들어 1주일쯤 먹으면 특효가 있다. 3. 완두콩을 삶든지 볶아서 2~3 숟갈씩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 4. 밤 1 공기, 대추 1 공기, 팥과 검은콩 1 공기와 찹쌀 2~3홉으로 밥을 지어서 1일 3회로 나누어 먹으면 효과가 좋다. 보약도 되고 산후 원기에도 좋다. 5. 호박씨 1홉을 볶아서 수시로 까먹으면 효과가 좋다. 6. 상추 3~4포기를 찧어 ..
식이요법 : 숙취 숙취 식이요법 * 숙취가 심한 경우에는 녹두죽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방법은 300g 정도의 녹두에 물 1g을 넣고 끓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칡즙을 마시면 대개 술이 깬다. 그래도 술이 덜 깨 머리가 상쾌하지 않으면 3~4잔을 계속해서 마시도록 한다. * 음주후 속과 정신을 맑게 하기 위해 오이를 사용하면 좋다. 오이즙은 무기 염료질이 들어 있어 알코올을 중화시키고 소화기에 들어가서 완화 작용을 하므로 음주 후 마시면 속이 시원하고 편해진다. * 맥주를 마시고 취했을때는 대나무 잎을 끓여 마시면 취기를 풀 수있다. 방법은 대잎 12장 정도에 물 3컵을 넣고 끓인 뒤 물이 반 정도로 줄면 반잔을 따라 마신다. 3번 정도 복용하면 효과가 나타난다. * 생쌀 큰수저 2술 정도를 약 30분 정도 불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