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무좀 무좀 식이요법 [좋은 식품] 후추, 오미자, 석류, 등겨 [ 증세 ] 주로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 피부에 백색 균이 파고들어 가려움증 등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특히 이 병은 완고한 고질병의 하나로 재발하기 쉬우니 관리를 잘해야 한다. 여름철이 되면서 서서히 가렵기 시작하여 따갑기도 하며 비벼대면 물집이 터져 열기가 심해 붓거나 아프다. [ 처방 ] 1. 석류의 과피나 근피를 달여서 그 물을 바르면 특효가 있다. 2. 큰 그릇 위에 창호지를 팽팽하게 들러 싸 놓고 바늘구멍을 여러 개 낸다. 그 위에 등겨를 수북이 쌓아놓고 숯불 덩이를 올려놓으면 등겨가 타면서 기름이 바늘구멍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 기름을 바르면 낫는다. 3. 후추와 오미자 가루를 같은 비율로 섞어 물로 개어서 바르면 특효가 있다.
식이요법 : 목덜미가 뻐근할 때 목덜미가 뻐근할 때 식이요법 [좋은 식품] 대추씨(산조인), 매실, 두릅, 칡뿌리 [ 증세 ] 정신적 스트레스, 바이러스 세균으로 인하여 신진대사가 깨뜨러져 일어나는 것으로 호르문의 불균형이 주원인이다. 고혈압, 갱년기 장해 등의 증세가 일어나면서 피로, 권태, 저리고 판단력이 흐려지며 미열이 나타나 목덜미가 뻐근해진다. [ 처방 ] 1. 대추씨(산조인)에 약간의 감초를 넣어 서서히 달여서 매일 조석으로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2.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고 이것을 넓은 그릇에 담아 햇볕이나 열로 수분을 증발시키면 매실'진액'을 물 한 컵에 타서 매일 3회로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또 예방 약으로도 좋다. 3. 두릅의 잎을 삶아 나물로 해서 일상식으로 먹어도 효과가 좋다. 또한 두릅의..
식이요법 : 협심증 협심증 식이요법 (1) 기본수칙 한번 발작을 일으켜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사람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심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동맥경화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생활과 식사면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1) 발병 초기에는 육체적, 정신적 안정을 취하고 1~2주일간 행동을 제한하고, 1주~10일간 주스 단식을 한다. 2) 저나트륨, 저칼로리, 고 칼륨 식사를 원칙으로 한다. 발작을 유발할만한 과로, 정신적 스트레스, 폭음, 폭식을 피한다. 3) 체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식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절대, 체중이 늘지 않도록 하고, 비만인 사람은 체중을 줄이도록 한다. 4)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식후에는 바로 활동하지 않도록 한다. 5) 발작 시에는 심장에 부담이 적고, 소화, 흡수가 잘되는 음..
식이요법 : 체형별 체형 - 새우등 형 (1) 증상 어깨 등의 결림, 입면 곤란, 눈의 충혈, 안달하는 성격 (2) 기본수칙 1) 공복 시간은 너무 많이 두지 말고 한꺼번에 과식을 하지 않도록 한다. 2) 식전에는 10~30분간 누워서 휴식을 취하도록 한다. 3) 하루 중에 쌓인 피로를 반드시 충분히 풀도록 한다. 4) 편식을 하지 않도록 한다. 5) 지나치게 뜨거운 음식, 지나치게 차가운 음식은 동시에 먹는 것을 피해야 한다. 체형 - 아랫배가 내밀린 형 (1) 원인 수분의 과잉섭취로 인해 내장이 늘어짐. (2) 증상 냉증(전신, 허리), 가스가 참(아랫배), 방귀, 쉬 피로함, 나른함, 생리통, 허리가 무거움. (3) 기본수칙 1) 몸을 냉하게 하는 음식, 신것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2) 쉬 피로를 느끼는 경우가 있..
식이요법 : 60대 이상 연령별 식이요법(60대 이상) (1) 기본수칙 1) 항상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를 해야 하며, 특히 부족해지기 쉬운 영양소는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2) 음식은 소화흡수가 잘 되는 것을 선택하여 조리해 먹도록 한다. 예를 들면 콩의 섭취로 두부를 선택하거나, 과일은 믹서에 갈아서 반드시 필요량을 섭취한다. 3) 노년기의 열량 섭취는 총 1600~2200Kcal 정도이면 바람직하다. 20~49세 연령층의 영양권장량보다 10~20% 적은 양이 적당하다. 4)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은 거의 같은 양을 섭취해야 한다. 특히 부족해지기 쉬운 단백질은 하루에 한 번 육류나 생선, 간 등을 통해 섭취하는 것도 좋다. 5) 평소에 정상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여기서 정상체중이라 함은 본인이 25세..
식이요법 : 40~50대 연령별 식이요법(40-50대) (1) 기본수칙 1) 노동은 하루에 9시간 이내로 한다.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한 질병 유발을 막기 위해 피로 해소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2) 성인병에 걸리기 쉬운 시기이므로, 비만증, 심장병, 고혈압, 간염 등에 주의하면서, 이들의 식이요법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심장병은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에 걸리는 확률이 높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3) 매일 아침식사를 하도록 한다. 4) 과음을 삼가고, 흡연은 금하는 것이 좋다. 간과 폐질환을 유발하는 유해한 것들이므로 금하도록 노력한다. 5) 지방은 총 섭취 열량의 25% 이내로 섭취한다. 6) 고지방 식품에 주의한다. 7) 식품은 매일 30가지 이상을 골고루 섭취한다. 8) 비타민 A, C, E 등을 충분히 공급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