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20대 연령별 식이요법(20대) (1) 기본수칙 1) 20대에는 열량 소모가 많은 시기이므로 체중조절을 위한 식생활 조절은 특별히 필요하지 않다. 2) 20대 여성은 중년이 되면 칼슘 부족에 따른 골다공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평소, 칼슘 강화식품을 적극 섭취하여 이를 예방하도록 한다. 3) 청년기(신장 : 158~159cm, 체중 52.5~55kg인 경우)의 하루 열량 권장량은 2000Kcal이다. 4) 매일 아침식사를 빼놓지 않고 하도록 한다. 5) 여성에게 특히 관심사인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비타민을 식사를 통해서 충분히 공급한다. 특히, 비타민 E가 효과가 있다. 6) 비타민은 과일이나 야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매일 식사 시에 채소 한두 가지 씩을 섭취하도록 한다. 7) 25세 미만인 여성이 섭취..
식이요법 : 10대 연령별 식이요법(10대) (1) 기본수칙 신체적으로 신장을 비롯한 모든 부분이 급격히 성장할 무렵인 10대에는 각 영양소의 공급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1) 고단백, 고칼로리식을 적극 권장한다. 발육을 촉진하는 주성분인 단백질, 특히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식품이 필요하다. 2) 갑상선호르몬의 기능을 높이는데 필요한 요오드 함유 식품을 섭취한다. 3) 성장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비타민 B2, C, D, 칼슘 등을 충분히 공급한다. 4) 성호르몬과 관련이 있는 비타민 B1, E, F 등을 섭취한다. 5) 신경이 지나치게 예민한 사람은 신장이 잘 크지 않으므로, 비타민 B1, C, 칼슘 등을 특히 충분히 섭취할 필요가 있다. 6) 영양소의 체내 흡수를 도우려면,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식이요법 : 10대 이하 연령별 식이요법 : 10대 이하 (1) 기본수칙 성장기 어린이나 한창 발육할 나이의 아동에게는 필요한 영양소를 골고루 공급해야 한다. 1) 단백질원이 되는 식품을 많이 섭취해야 한다. 특히, 단백질은 양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좋은 식품을 섭취해야 한다. 신체조직을 형성하는 필수 아미노산은 성장기 어린이에게 꼭 필요한 것이므로 이를 함유한 식품을 매일 섭취하도록 한다. 2) 비타민, 미네랄에도 중점을 두어 섭취하도록 한다. 3) 뼈와 이를 구성하는 칼슘과 철은 조혈작용에도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매일 섭취해야 한다. 4) 하루에 필요한 총에너지의 10~15% 정도는 간식을 통해서 섭취한다. 어린이는 소화기의 미발달로 1일 3회의 식사가 무리이므로 3회 중 1회는 간식을 섭취해도 좋다. 5) 어린이는 식사 전에..
식이요법 : 비만증 비만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감자, 홍당무(당근), 양파, 마늘, 산나물, 들나물, 미역, 다시마, 사과 [ 증세 ] 우선 비만아를 보면 심장을 주로 하여 순환기 장해 및 위장기능이 불균형하여 변비나 위장기능이 비정상이며 특히 호흡기 장해 또는 발이 차갑게 느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성년으로서는 대기 지방질이 쌓이기 쉬운 목, 어깨, 무릎 위, 가슴 부위와 허리, 아랫배 주위에 쓸데없는 살이 찌게 되는데 주로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하며, 심장의 고동이 심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린다. 비만을 고민하는 어떤 사람은 빵, 우유, 과일 등으로만 때우는 일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 생각한 것이다. 이런 식이를 계속한다면 고혈압, 동맥경화, 변비, 치질, 담석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만일 식욕부진의 현상이라면 되도록 ..
식이요법 : 고지혈증 고지혈증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고지혈증의 예방과 치료의 기본은 식이요법이며, 경증이나, 중등 정도의 환자는 식이요법만으로도 상당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1) 지방 섭취량을 감소시킨다. 과식을 하거나 기름기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해당된다. 특히, 동물성 지방을 피하고, 식물성 지방을 이용한다. 2) 식물섬유 함유량이 많은 식품을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식물섬유는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다. 3) 섭취 에너지양을 제한한다. 식사의 총에너지가 높으면 고지혈증을 촉진하므로 열량은 2000Kcal 이하로 한다. 감량으로 인해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치가 저하된다. 비만인 경우는 1000~1500Kcal 정도로 한다. 4)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콜레스테롤량을 억제하고 간장에서의 합성..
식이요법 : 디스크 디스크 식이요법 [좋은 식품] 쑥, 마늘, 두릅 잎사귀, 접골목 [ 증세 ] 허리를 무리하게 비틀거나, 무리한 힘을 쓰거나, 추간반에 강한 압력을 가했을 때 대개 제4.5 요추 사이의 추간판(연골의 탄력성으로 척추 운동을 하는 부분)이 뒤로 빠져나오는 현상으로 주로 청, 중년기에 많으며, 통증이 있고 움직이기가 부자연스러우며 심할 때는 장기적인 휴식과 수술 및 치료요법이 요구된다. 목이나 팔 디스크의 치료 요법도 이와 같은 일종이다. [ 처방 ] 1. 두릅의 잎사귀를 삶아서 매일 2~3회 나물로 만들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 특히 목디스크에 좋다. 2. 쑥 잎사귀와 마늘을, 말 오줌 나무 각각 40g을 헝겊대에 담아 목욕물에 넣고 따끈하게 데워 입욕하면 특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