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두통 두통 식이요법 [좋은 식품] 구기자, 땅두릅, 지부자, 매실, 쑥, 무 [ 증세 ] 주로 담에서 오는 증세로서 머리가 무겁고 귀가 멍하여, 눈과 입과 혀가 비정상이어서 음식 맛을 알지 못하고 기지개를 하면 어지럽다. 심하면 구역질이 나고 전신의 기운이 다 빠진다. 여러 가지 원인의 병에 합병증으로 나타나게 되는 증세이다. [ 처방 ] 1. 댑싸리 씨(지부자)를 차 대신 마시면 효과가 좋다. 2. 구기자(지골피)를 1회에 1-2근을 물 5홉에 달여 마시면 좋다. 3. 오가피(땅두릅)의 생것을 연하고 먹기 좋게 하여 매일 1/5개 정도 장기 복용하면 특효약이 된다. 생것을 복용 키 어려우면 우엉의 노근을 캐어 껍질을 벗겨 말린 다음 1일 1회 2-3근을 달여 마시면 즉효이다. 4.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
식이요법 : 대하증 대하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석류, 맨드라미, 쑥잎, 연밥, 은행 [ 증세 ] 대하증이란 여성의 생리현상이 변하여 평소와 달리 병적으로 액체 분비물이 많아지거나 또한 적색, 백색, 무색 대하가 질 밖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이런 대하증 중에서 적색 대하는 간편한 치료가 필요하다. 원인은 주로 부인의 성교가 지나치게 많거나, 독신녀의 성생활이 비정상적인 경우이며, 대체로 임질균으로 인하여 소화가 안 되며 고민이 많아서 변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음부에서 적, 백 대하인 분비물이 흐르게 된다. [ 처방 ] 1. 석류의 껍질을(1회 20g 정도) 물 한 사발 정도로 달여서 공복 때 마시는데 매일 3회씩 3~4일 마시면 특효가 있다. 특히 자궁 출혈에도 효과가 있다. 2. 맨드라미 꽃 말린 것 한 주먹을 물 ..
식이요법 : 늑막염 늑막염 식이요법 [좋은 식품] 풀고사리, 마늘, 율무(의이인), 매실, 피마자 [ 증세 ] 늑간이 살며시 아프며 헛기침, 식욕부진, 두통, 호흡곤란 등을 일으키고 찌르듯이 아플 때도 있다. [ 처방 ] 1. 풀고사리 말린 것을 적당히 달여 1일 3회 이상 2~3일간 차 마시듯 하면 낫는다. 2. 마늘 200g과 소주 1되, 설탕 200g을 병에 넣고 밀봉해서 3-6개월쯤 지나서 매일 한잔씩 장기 복용한다. 3. 의이인(율무) 분말에 현미 적당량을 넣어 죽을 만들어 먹으면 특효가 있다 4.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이 액즙을 넓은 그릇에 담아 햇빛이나 열로 수분을 증발시키면 매실(진액)이 되는데, 늑막염으로 미열이 있거나 기침이 심할 때 콩알만 하게 만들어 매일 3개씩 1~2주간 복용하면 특효가..
식이요법 : 류마티스 류머티즘 식이요법 [좋은 식품] 석류껍질,율무,월계수,무우즙,선인장,유자씨,겨자분,연밥,우엉 [ 증세 ] 이상기온이거나, 궂은날이 되면 심히 열이 나고, 부진해진다. 또한 무엇인지 모르게 손가락, 손목이 저리고 붓거나, 관절 마디가 부자유스러워진다. [ 처방 ] 1. 말린 석류껍질 20g 정도를(1회량) 물 한 사발로 달여서 매일 3회씩 공복 때 나누어 2-3주일 마시면 특효가 있다. 2. 월계수 열매를 말려 가루를 만들어 1회에 2g씩 1-2개월 따끈한 물로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율무는 소염, 진통작용이 있어서 율무분, 현미분, 소맥분 각 100g과 설탕 소금 약간을 넣고, 초 1스푼과 물로 반죽하여 건빵이나 케이크, 등을 만들어 먹으면 특효가 있다. 또는 율무와 구기자를 똑같이 넣고 달여서 차..
식이요법 : 두드러기 두드러기 식이요법 [좋은 식품] 사과초, 무, 미나리 생즙 [ 증세 ] 부패된 음식물을 먹고 식중독으로 붉은 반점 등이 생기는데 심하면 발열과 가려움이 있고 잠을 못 이루며 갈증이 나기도 한다. 또는 화분(꽃가루), 약물중독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처방 ] 1. 사과초를 바르면 즉시 특효가 있다. 2. 무를 강판에 갈아 헝겊으로 싸서 환부에 가끔 문질러 주면 즉효가 있다. 3. 미나리의 생즙을 내어 1회에 1컵씩 2~3회 마시면 효과가 있다. 특히 마진(홍역)에 좋다. 4. 호두의 푸른 껍질을 찧어서 약간의 유황가루에 개어서 바르면 신통하게 낫는다. * 우엉 2 뿌리(한번 먹을 분량)에 물 2컵을 붓고 한 컵이 될 때까지 중불에서 달여 두드러기가 가라앉을 때까지 마시거나 환부에 발라 준다. 우엉은..
식이요법 : 담 담 식이요법 [좋은 식품] 머위, 은행, 도라지, 금화초 [ 증세 ] 담은 진액이 열로 인하여 탁하게 되며, 음의 체내로 들어간 수분이 제대로 분산되지 못해서 병적인 액체 즉 담(가래침)이 되어 갑자기 가슴, 허리, 등,다리, 사타구니 등지로 돌아다니는 것 같고 심히 아플 때도 있으며, 근육과 뼈가 계속 당기고 앉아도 누워도 편치 못하다. 특히 중풍으로 마비되어 두통을 일으켜 어지럽고 경련을 하는 증세는 풍담이고, 사지가 자유롭지 않고 쑤시고 아프며 차게 느끼는 증세는 한담이다. 또 열이 오르고 목이 쉬며 가슴이 답답한 증세는 열담이며, 담이 목구멍에서 막혀 자유롭게 넘어가지도 나오지도 않는 증세는 기담, 술로 인하여 위장이 상하여 생긴 담을 주단, 놀래서 생긴 담의 덩어리가 가슴속에서 움직이기 시작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