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장 수술 후 장 수술 후 식이요법 (1) 기본수칙 1) 장 수술 후에는 소화 흡수능력이 떨어지므로 식물섬유 식품을 제한한다. 식물섬유는 장에서 가스를 발생하여 수술부위를 자극하며, 대변량을 늘리므로, 대장수술후에는 제한해야 한다. 2) 지방의 섭취를 되도록 제한한다. 기름기 있는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소화흡수가 안 되어 설사, 지방변을 일으키므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설사가 사라지면 서서히 지방 제한을 완화하되, 튀긴 음식, 볶은 음식은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3) 적당한 단백질과 열량을 충분히 공급한다. 수술 후의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필요하다. 4) 각종 비타민, 미네랄은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대장 수술 후, 수분의 과잉 섭취를 피하도록 한다. 대장 수술 후에는 수분 흡수 능력이 떨어지므로, 능력 이..
식이요법 : 임신중독중 임신중독증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증상이 가벼우면 출산 후에 자연스럽게 낫지만 중한 경우는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임산부가 혼수나 경련을 일으키고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일단 임신이 되면 식생활에 주의하여 임신중독증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임신중독증의 치료에는 식사요법과 안정이 기본이다. 1) 병을 예방하려면 임신 전기부터 에너지를 조정하여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증이 함께 있는 경우는 1400~1600Kcal 정도의 저에너지식을 하여 감량하도록 노력하고, 비만이 아닌 경우는 1800Kcal 를 섭취한다. 2) 활동을 하고 난 후에는 몸의 왼쪽을 아래로 해서 누워 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위를 향해서 누우면 혈관 압박으로 혈액순환이 안되어 부종(발)..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식이요법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식이요법 (1) 식이요법의 기본수칙 호르몬분비에 이상이 와서 생기는 이 병의 치료는 호르몬요법이 중심이 되지만, 호르몬의 치료효과를 높이려면 식이요법이 필요하다. 1) 저에너지, 저지방식을 한다. 비만, 고지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에너지 섭취를 줄이고 지방을 제한하는 식생활을 한다. 2) 갑상선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요오드 함유식품은 되도록 많이 섭취한다. 3) 기초대사율이 떨어지므로, 에너지 섭취를 조절하여 체중을 늘린다. 에너지는 주로 탄수화물에서 얻는다. 4)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5) 갑상선 호르몬 투여시에는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안된다. 약물의 작용이 약화될 수 있음. 티아민이 부족해도 갑상선제의 작용을 억제함. (2) 적극 취할 것 1) 요오드 함유식품 : 김..
식이요법 : 매독 매독 식이요법 [좋은 식품] 복숭아의 벌레, 보리차, 자라 껍데기, 호두나무잎, 시금치, 은행 [ 증세 ] 스피로헤타균(매독균)이 몸속에 침입하여 심지어는 정액, 모유에 파고들어 키스만으로도 전염되는 날카로운 균인데 여자는 음순에 멍울이 생기며 국부를 통해 가슴, 배, 수족에 장밋빛이나 누런 색깔의 반점이 나타난다. [ 처방 ] 1. 복숭아 속에 기생하고 있는 벌레 5~6마리를 말려서 가루를 만들어 술에 타서 3~4회 마시면 효과가 있다. 2. 호두나무잎을 달여서 차 대신 마시면 효과가 있다. 3. 시금치 뿌리를 그늘에 말려서 1일 20g의 양을 물 4홉으로 달여서 3회로 나누어 마시면 효과가 좋다. 4. 보리차를 진하게 끓여 차처럼 마시면 좋다. 5. 자라껍데기를 태워 가루를 만들어 계란 흰자위에 개어..
식이요법 : 딸꾹질 딸꾹질 식이요법 * 몸이 쇠약해진 환자가 딸꾹질을 계속할 때는 젖 100ml와 날계란 3개를 두 시간 간격으로 먹으면 좋다. 무를 숟가락으로 긁거나 채판에 갈아 즙을 낸다음 꿀을 적당히 가미하여 먹어도 효과가 있다. 잘 낫지 않을 때는 이 같은 방법을 2~3번 계속 반복한다. * 생강 7쪽과 칼집 낸 곶감 7개를 용기에 넣고 물 5컵을 부어서 약한 불에 물이 2/3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냉장고에 넣어두고 딸꾹질이 날 때마다 마신다. * 감 꼭지 3개와 감 하나 깎은 분량의 감 껍질을 물 한 대접에 넣어서 물의 양이 한 컵 정도 나오면 즙만 내어 마신다. 횡격막의 경련에 의해서 일어나는 딸꾹질은 감 껍질이 효과적인데, 이는 근육을 평온하게 해주는 울소릭산, 오리아릭산이 감 껍질 속에 함유돼 있기때문이다...
식이요법 : 동맥경화 동맥경화 식이요법 [좋은 식품] 솔잎, 매실(오매), 귤, 토마토, 사과식초, 마늘, 양파, 로열제리, 꿀, 콩가루, 다시마 [ 증세 ] 동맥경화 중에서도 대체로 많은 뇌동맥경화 증세는 머리가 무겁고, 현기증,시력, 청력, 기억력, 감정장애 등을 유발해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 이러한 동맥경화를 증세별로 분류해 보면 심장에 장애를 일으켜 신장까지 기능 저하를 일으키게 하는 관상동맥경화증, 위장을 찌르는 듯한 통증을 주는 위장 동맥경화증 등이 있다. [ 처방 ] 1. 오매(껍질 벗긴 매실을 짚불에 그슬려서 말린 것), 귤, 레몬, 토마토, 사과, 식초 등 신 과일류나, 꿀, 로열제리, 콩가루, 다시마 가루 둥을 평소에 식용으 로 하면 치료와 예방에 도움이 된다. 2. 양파를 가루로 내어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