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암 암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약물요법, 방사선요법, 외과 요법 등의 암 치료법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먹기 쉬운 유동식을 통한 각 영양소 공급과 수면을 충분히 취한다. 암세포가 있어도 식사를 포함한 일상생활에 주의를 기울여 암세포 증식을 억제, 암발생율을 낮춤. 1) 암을 예방하고 암세포의 증식을 예방하려면 과식, 비만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과음, 과식을 피함 2) 지방의 과잉 섭취를 삼간다. 육류의 기름기를 제거하고 튀긴 음식은 많이 먹지 않도록 한다. 3) 염분섭취를 삼가면서 엷은 맛에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염분을 과잉 섭취하면 식도암이나 위암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4) 비타민 A, C, E, 카로틴, 섬유질을 적극적으로 섭취한다. 발암촉진물질의 작용을 억제하고, 암 발생인자를 억제하기 위..
식이요법 : 심장 수술 후 심장 수술 후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전신의 영양상태가 나빠지면 심장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며 심장은 각종 영양소를 필요로 하는 대규모의 에너지 소비원이므로, 수술 후에는 엄격한 식사관리를 통해, 심장운동을 활발하게 하도록 해야 한다. 1)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외에 비타민, 미네랄 등 모든 영양소를 적극 섭취한다. 2) 수술 후의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고에너지, 고단백질 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3) 심장에 부담을 덜 주기 위해, 소화 흡수가 잘 되는 식품을 선택한다. 수술 다음날은 5부 죽부터 먹기 시작하여 복부 팽만감, 설사 등의 증상이 사라지면서 3~4일간 보통식을 먹는다. 4) 염분 및 수분 섭취를 삼간다. 염분 및 수분을 다량 섭취할 경우, 순환 혈액량이 많아져서 그만큼 심장이 많은 일을 해야..
식이요법 : 심부전 심부전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심부전의 치료는 심장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고, 혈액 운송량을 늘리는 요법과 원인 치료를 하면서 식이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속히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식사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1) 급성기에는 금식을 하고 정맥주사제로 영양공급을 한다. 2) 음식을 입으로 먹을 수 있게 되면 소화가 잘 되는 유동식부터 연식, 보통식으로 바꾸어 준다. 심부전이 있으면 식욕부진이 되기 쉬우므로 충분한 영양섭취를 해야 함. 보통식을 섭취하게 되어도 재발방지를 위해 식사에 주의하도록 한다. 3) 심부전에는 염분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원칙이다. 소금의 주성분인 나트륨 섭취를 꾸준히 제한한다. - 중증일때는 하루에 소금 3g 이하로 적극 제한 - 경증일때는 정상인의 하루 섭취량의 1/3, 6-8g..
식이요법 : 심근경색 심근경색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발병 초기에는 육체적, 정신적 안정을 취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생활 수칙을 지키면서 심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동맥경화를 악화시키지 않도록 식이요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발작이 있으면 우선 금식을 하고, 갈증이 있을 때 수분을 소량씩 섭취한다. 2) 2~3일 지나 증상이 없어지면 소화와 흡수가 잘 되는 유동식을 주되 저지방식이 중요하다. 미음, 주스 중심의 유동식에서 3부, 5부, 전죽으로 점차 바꾸어 준다. 3)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숨이 참, 동계, 협심 발작을 일으킬만한 요인을 피한다. 정신적인 긴장이나 강한 힘을 내는 운동, 과로 등을 피하도록 한다. 4) 발작 후, 2~3주일간은 절대 안정을 취하고 되도록 빨리 의사의 지도에 따라 보행 연습을 한..
식이요법 : 만성 신장염 만성 신장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병의 진행정도에 맞추어 안정이 필요하며 근본적인 치료약이 없기 때문에 식이요법은 만성 신장염의 치료에 유효한 방법이다. 1) 신장의 기능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량은 하루에 30~50g 으로 하고, 저하되지 않았으면 단백질을 과식하지 않도록 한다. 하루에 100g 정도를 섭취한다. 신증후군형이면 소변으로 손실된 단백질을 하루에 80~90g 정도 보충한다. 단백질 가공식품은 피하고, 양질의 단백질 식품을 선택한다. 고혈압인 경우는 단백질을 체중 1kg 당 1일 1g 섭취한다. 2) 증상에 따라 염분섭취를 제한한다. 고혈압, 부종, 신장기능이 약간 저하된 경우는 하루에 3~7g으로 제한. 염분이 많은 김치 등은 피하고 간장, 된..
식이요법 : 급성 신장염 급성 신장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안정과 식이요법이 신장염 치료의 주체가 된다. 초기의 치료가 가장 중요하며 병의 치료 결과를 크게 좌우한다. 1) 치료의 원칙은, 특히 초기에 안정을 취하고 보온을 하는 것이다. 누워 있으면 신장의 혈액량이 많아지므로 혈액이 충분히 흐름으로써 신장의 기능을 빨리 회복시킬 수 있다. 2) 부종이 있을 때는 절대 일어나서는 안되며 혈압이 높거나 신장기능이 나쁜 동안에는 안정하고 누워 있어야 한다.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겠으나 평균 1개월 정도 안정을 취할 경우, 부종이 사라지고, 혈압도 내려간다. 성인은 어린이보다 만성신장염으로 발전하기 쉬우므로 충분한 기간 동안 안정을 취해야 한다. 3) 단백질의 섭취를 제한하도록 한다. 증상이 심한 초기에는 1~2주일간 25~30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