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민간요법152

반응형
식이요법 : 천식 천식 식이요법 * 늙은 호박의 윗부분을 국자가 들어갈 만큼만 도려내고 속을 파낸 다음 끓여 놓은 엿기름을 호박 속에 붓고 생강과 밥도 함께 넣는다. 이것을 솥에 넣고 물을 3/1 가량 부어서 찌면 호박 식혜가 된다. 다 쪄졌으면 호박 속의 식혜를 그릇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해 놓고 매 식전에 마신다. * 파 3뿌리와 얇게 썬 레몬 반 쪽에 물 3컵을 붓고 끓인다. 그 물에 꿀 한 수저씩을 넣어 따뜻한 상태로 아침저녁 공복에 마신다. 파뿌리와 꿀은 두 가지가 합쳐져서 진해, 거담작용을 하므로 천식에 효과적이다. * 찬바람이 불어 천식기가 발작을 일으키면 곧 따뜻한 벌 꿀물에 말린 살구씨를 넣어 씹으면서 마시면 대단히 효과적이다. 살구씨 속에는 소량의 청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많이 먹으면 오히려 독이 되므로 ..
식이요법 : 치통 치통 식이요법 [좋은 식품] 차전초, 율무, 오가피, 겨자 [ 증세 ] 잇몸에서 피가 나기도 하고, 쑤시며 아프고 곪는다. [ 처방 ] 1. 차전초(질경이)의 생잎에 소금을 조금 바른 다음 아픈 이로 깨물어 준다. 자주 바꾸어 가면 효과가 난다. 2. 율무 뿌리를 잘 씻어 말린 것을 달여서 10일 정도 차처럼 마시면 효과가 있다. 3. 오가피(땅 드룹) 노근의 껍질을 벗기고 말린 다음 1일 1회량 2~3근을 달여서 10~20일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4. 겨자가루와 마늘을 1:1 비율로 개어서 통증이 있는 곳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 나이 든 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화농균이 침범하거나 치석이 그대로 쌓여 생기는 풍치의 경우 피마자 씨를 프라이팬에 볶다 보면 씨 겉면에 기름이 저절로 생기기 시..
식이요법 : 종기 종기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으름덩굴, 월계수 잎, 민들레 잎, 박, 우엉 뿌리, 연꽃잎, 인동, 치자나무, 호두 알맹이, 참깨 [ 증세 ] 악성 뾰루지가 응고되어 생겨서 치료를 잘못하면 세포 속으로 화농염이 터져 독소와 균이 몸속에 포화되는 일이 있다. [ 처방 ] 1. 목통(으름덩굴을 말린 것)을 달여서 그 즙을 종기(뾰루지)에 바르면 효과가 좋다. 2. 월계수 잎에서 짜낸 월계유를 바르면 낫는다. 3. 민들레의 잎을 으깨어 술을 넣고 달여서 마시면 특히 등창에 효과가 있다. 4. 우엉 뿌리를 갈아 즙을 내어 바르면 효과가 있는데, 특히 부인의 음부가 부어 아플 때나 부르텄을 때에 바르면 특효가 있다. 5. 박(동과)씨를 검게 태워서 입 속의 종기에 바르면 특효가 있다. 6. 연꽃잎을 찧어서 종기에 ..
식이요법 : 자궁내막염 자궁내막염 식이요법 [좋은 식품] 마름, 노학초, 민들레, 다시마 [ 증세 ] 자궁에 생기는 염증으로 임균, 결핵균 등이 주원인이며 대하증 하복통, 생리 불순 등의 증상이 일어나는 병이다. [ 처방 ] 1. 마름 열매 5개를 물 1홉과 달여서 장기적으로 1일 3회씩 나누서 마시면 효과가 좋다. 2. 노학초 30g을 물 1l와 달여 천으로 짜서 달여서 매 식전 마시면 효과가 좋다. 3. 민들레 말린 것 5g을(1회량) 물 5홉에 달여서 매 식전 마시면 효과가 좋다. 4. 다시마를 1회에 1근을 달여서 10~20일간 차처럼 마시면 효과가 좋다.
식이요법 : 임질 임질 식이요법 [좋은 식품] 다시마, 질경이, 으름, 동백, 고사리, 인동, 겨자, 맨드라미, 연, 오이 [ 증세 ] 임균에 의해서 요도 점막에 염증이 생겨 불쾌감이 오고 통증이 있으나 무통증인 경우도 있다. 남녀의 생식기 구조에 따라 병의 구조나 증세가 다르게 나타난다. [ 처방 ] 1. 차전초(질경이)와 쑥을 2:1의 비율로 넣고 감초 소량을 넣은 다음 달여서 차 마시듯 하면 효과가 좋다. 2. 으름덩굴(목통)을 말려서 태워 가루를 만들어 놓고 매일 1 찻숟갈씩 1주일 정도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다시마 1근을 달여서(1회량) 10~20일간 차처럼 마신다. 4. 응달에 말린 동백꽃을 달여서 식전으로 마시면 효과가 있다. 5. 하얀 맨드라미 말린 것 한 줌을 물 2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1일 3..
식이요법 : 임신중독 임신중독 식이요법 [좋은 식품] 다시마, 땅두릅(오가피), 맨드라미, 팥가루, 잣, 흰파, 잉어, 콩, 우유, 귤, 보리, 대추, 전복, 고구마, 감자, 사과, 복숭아, 시금치, 바나나, 정어리, 쇠고기 [ 증세 ] 임신이 시작되면서 임산부에게는 여러 가지 변화가 있다. 임신 1개월에서 3개월 사이에 입덧이 시작되면서 체내 호르몬 작용에 의해 월경이 멎게 되거나 식성의 변화를 갖게 마련이며, 정신적인 감정 변화와 자궁이 방광을 압박하여 소변량이 평소보다 많거나 잦고 분비물이 많아져서 변비 또는 냉이 많아지므로 피부염 기타 질병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임산부는 태아에게 영양을 빼앗기게 되는 만큼 임산부로서 고른 영양섭취를 해야 함은 물론 성생활도 자궁을 거칠게 압박하지 않는 범위에서 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