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식이요법 : 치질 치질 식이요법 [좋은 식품] 산 두꺼비, 계란 기름, 고사리, 김, 무화과 잎 [ 증세 ] 항문 안팎으로 종루가 생기는 것을 치질이라 한다. 원인은 여러 가지이나 일단 발생하면 어렵게 되니 자연식 요법으로 미리 예방해야 한다. [ 처방 ] 1. 산 두꺼비의 골을 꺼내서 그것을 치질 구멍에 매일 넣으면 낫는다. 2. 계란 기름을 치질 구멍에 매일 넣으면 낫는다. 3. 고사리 말린 것을 주전자에 넣고 물을 붓고 끓일 때 구멍으로 나오는 김을 쏘인다. 4. 무화과 잎 또는 수피를 끓여서 환부를 담그고 있으면 아픔이 가라앉는다.다.
식이요법 : 축농증 축농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복숭아 잎, 홍차, 마늘, 수세미, 조기 [ 증세 ] 체강 중에서도 주로 부비강(콧등 안쪽) 속에 고름이 괴어서 두통이 일어나고 건망증이 생기며 가끔 고약한 냄새가 나는 분비물이 흐르고, 긴장감과 중압감으로 머리가 무겁고 미열이 있다. [ 처방 ] 1. 홍차에 소금을 조금 넣어 놓고 환자를 적당히 눕힌 다음 콧구멍 속으로 불어넣어 코 속을 씻어내면 된다. 2. 마늘을 3~4개를 찧어서 발바닥 중간 부분에 붙이면 효과가 좋다. 3. 수세미 덩굴을 2-3cm씩 잘라서 볶아 가루를 만들어 놓고 1회에 1 숟갈 씩 술 1잔에 타서 3~4회 마시면 특효가 있다. 4. 조기 머리 10개쯤을 태워서 가루로 만들어 놓고 식후에 1 숟갈씩 3~4회 술에 타서 1잔씩 마시면 효과가 좋다. 5..
식이요법 : 중풍 중풍 식이요법 [좋은 식품] 솔잎, 오가피, 호박, 감, 쑥 [ 증세 ] 뇌일혈 후에 나타나 발작하면 사물을 구별치 못하고 입과 눈이 돌아가고 반신이 마비되며 수족이 자유롭지 못하다. [ 처방 ] 1. 어린 솔잎을 깨끗이 씻어 1cm 정도로 잘라서 물 5홉, 설탕 300g과 함께 병에 넣고 단단하게 마개를 하여 10~20일쯤 양지바른 곳에 두었다가 발효된 액체를 베로 걸러낸 송엽주를 1~2년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2. 오가피의 노근을 거피 내고 말린 다음 1일 1회 2~3근을 달여서 장기 복용하면 효험을 본다. 중풍이 심한 경우는 오가피 3근, 계피 1근을 술과 물로 달여서 한 잔씩 마시면 특효가 있다. 3. 호박의 음식을 평상시 먹으면 효과가 있다. 4. 감(시) 떫은 감을 절구에 넣고 찧은 다..
식이요법 : 중이염 중이염 식이요법 [좋은 식품] 행인(살구씨), 꿀, 무즙, 토란즙 [ 증세 ] 고막 외상, 감기, 폐렴, 콧병, 목병 등에 화농성 구균 및 포도상구균이 침입하여 중이(귓속)에 염증을 일으켜, 넣은 열과 통증 및 귓속이 멍멍하고 농이 흐른다. 또한 식욕부진, 불면, 두통, 메스꺼움 등도 있다. [ 처방 ] 1. 행인(살구씨)을 찧어서 탈지면으로 잘 싸서 1일 3~4회 귓구멍에 갈아 넣으면 특효가 있다. 2. 꿀을 1일 1~2회 귓속에 바르는데 바를 때는 솜(탈지면)으로 깨끗이 닦아 낸 다음 3~4일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 3. 무즙을 솜에 적셔 귓속에 넣고 1일 2~3회 깨끗이 3~4일 갈아주면 특효가 있다. 4. 토란 즙에 밀가루를 적당히 섞고 다시 생강즙으로 끈끈하게 혼합하여 하루 두 번씩 귓속에 넣고..
식이요법 : 주상 주상 식이요법 [좋은 식품] 마름, 연뿌리, 은행, 팥, 칡뿌리 [ 증세 ] 과음으로 위산과다를 초래하여 위장장애로 구토 및 가래가 끓며, 심하면 수족이 떨리고 정신이 어지러우며 식욕이 감소된다. [ 처방 ] 1. 마름 열매 5개를 물 4홉으로 분량이 되도록 달여서 1일 3회로 나누어 식전에 차처럼 마시면 좋다.(장기 복용을 해야 한다.) 2. 연뿌리의 생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1일 2~3잔씩 1~2주일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은행 씨를 1회 4~5개씩 태워서 1~2주일만 먹으면 특효가 있다. 4. 팥 1홉에 물 2홉을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1일 2회로 1주일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5. 칡뿌리로 탕을 만들어 차 대신 장기간 마시면 낫는다. 특히 설사와 갈증도 멈추게 된다. 또한 술 마신 뒤..
식이요법 : 주근깨 주근깨 식이요법 [좋은 식품] 오이, 가지, 자두, 나팔꽃씨 [ 증세 ] 대개 햇볕 등 자외선을 너무 오래 쏘이거나 호르몬 분비가 순조롭지 않을 때나 충격적인 스트레스가 있을 때 주로 생긴다. [ 처방 ] 1. 오이 싱싱한 것을 둥글게 엷게 썰어 환부에 붙이거나, 또한 싱싱한 오이의 생즙을 내어 1~2주일 바르면 효과가 있다. 2. 생가지를 등분하여 가끔 문지르면 없어진다. 3. 팥꽃을 으깨어 종존 붙여두면 없어진다. 4. 자두(자두)를 먹고, 또 피부에 가끔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 5. 나팔꽃씨의 가루 2스푼에 달걀 1개분의 흰자를 잘 개어서 잠들기 전에 4~5회 마사지하듯이 바르면 특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