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식이요법 : 위암 위암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율무, 현미, 구기자, 마름 [ 증세 ] 초기에는 만성 위장질환처럼 소화불량, 식욕부진, 압박감 등으로 둔한 통증을 느낀다. 구토를 하게 되면 커피색의 이물을 토하게 되며, 위산이 결핍되어 기력이 쇠퇴해지는 등 빈혈 증세까지도 겸한다. 암이 차츰 진행됨에 따라 부종이 나타나기도 한다. [ 처방 ] 1. 율무는 항암작용을 한다. 현미분, 율무분, 소매분 각 100g과 흑설탕, 소금 약간과 초 1 숟갈, 물로 찐빵이나 케이크 등을 만들어 먹으면 암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크다고 하며, 또 율무와 구기자를 넣어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마셔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2. 마름의 열매 5개와 물 1홉을 달여서 반쯤 되면 1일 3회로 나눠 식사 전에 마시면 효과가 있다.
식이요법 : 위산과다 위산과다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율무, 호도, 오렌지, 다시마, 사과, 귤, 레몬, 무 [ 증세 ] 위에서 분비되는 산에 산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식사 후 2~3시간이면 신트림이 나고 은근한 위통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위산과다 증세는 불치병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처방 ] 1. 이의인(율무)을 분말로 하여 현미와 같이 넣고 죽을 만들어 먹으면 낫는다. 2. 호두 3~4개를 매일 생강즙과 장기 복용하면 현대병에는 특효다. 3. 사과, 귤, 레몬, 오렌지 등을 껍질을 벗기고 등분하여 헝겊으로 짜서 1컵 정도의 즙을 낸다. 이것을 식후에 마시면 매우 효과가 좋다. 위산 분비를 억제시키는 데는 최고라 할 수 있다. 4. 다시마 날것 또는 말린 것을 가끔 씹어 먹는다. 5. 무를 강판에 ..
식이요법 : 위궤양 위궤양 식이요법 [좋은 식품] 양배추, 감자, 의이인(율무쌀), 파 [ 증세 ] 대개 위 속의 단백질 부족 현상이거나 심신의 과로로 체질이 허약해졌을 때 신경장애 및 위액의 소화 조직이 기능을 잃게 되어 위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일단 위가 헐게 되면 공복 또는 식사 후에 복통이 심해지고 토혈을 한다. [ 처방 ] 1. 양배추 작은 것의 1/4개, 사과 반개, 레몬 1/4개를 믹서로 갈아서 아침 식사 전과 저녁 식사 전 하루 2회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2. 감자 20~30개를 잘 씻고 강판에 갈아 삼베로 즙을 짜 약탕관에서 서서히 달여 조석으로 약 20일간 찻숟갈 하나씩 마시면 낫는다. 3. 의이인(율무)을 분말로 해서 현미 적당량과 죽을 만들어 먹으면 특효가 있다. 4. 흰파 2, 인삼 1, ..
식이요법 : 월경불순 월경불순 식이요법 [좋은 식품] 맨드라미, 박, 겨자, 버섯 [ 증세 ] 월경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나오다 끓어지는 일, 자궁의 발육부진 등으로 아랫배나 허리가 아프거나 요통이 있는 경우이다. [ 처방 ] 1. 맨드라미 꽃 말린 것 한 줌을 물 2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1일 3회로 나누어 식간으로 복용하면 된다. 2. 박(동과)의 껍질과 종자를 말려 달여서 1~2주간 마시든지 요리하여 먹으면 낫는다. 3. 겨자가루 4~8쯤을 1일 1회 2일간 식전에 복용한다. 특히 여성의 허리와 배가 아프고 열이 날 때에 더욱 효과가 있으나, 임산부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4. 버섯 2~3개와 호두 알맹이 2~3개에 설탕을 약간 넣어 물 3홉으로 달여 마시면 된다. * 600g 정도의 잉어 한 마리를 술에 끓여 먹으면..
식이요법 : 요통 요통 식이요법 * 그늘진 곳에서 말린 수박의 겉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한번에 10g씩 술이나 꿀에 타서 마셔도 어지간한 요통은 치료가 가능하다. 또 검은 참깨를 볶아서 절구에 찧어 한 번에 10g씩 하루에 세번, 소주에 타서 빈속에 마셔도 수박 겉껍질 가루를 먹은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 통증이 심할 때는 솔잎을 삶아 짓찧은 것을 얇은 천에 싸서 따뜻하게 찜질하면 시원해지면서 점차 통증이 멎는다. 찜질 시간은 하루 1~2시간 정도가 좋고, 다시 계속할 때에는 가급적 새 솔잎을 사용토록 한다.
식이요법 : 여드름 여드름 식이요법 [좋은 식품] 봉선화의 흰꽃, 삼백초 [ 증세 ] 대개 호르몬 분비 장애, 성기의 이상, 위장의 이상으로 분비액이 많아서 피지로 빠져나올 수 없을 때 응어리가 되어 가슴, 등, 얼굴 등에 붉게 또는 누런 빛으로 모이게 된다. 주로 피지에 땀 또는 먼지 등이 끼어서 깨끗하지 않을 때는 더욱 심하게 된다. 언제나 청결하게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 처방 ] 1. 봉선화의 흰꽃과 박(동과)씨를 같은 양으로 찧어서 10일 정도 붙이면 특효가 있다. 2. 삼백초(멸)를 달여두고 홍차 대신 15일 정도 마시면 효과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