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식이요법 : 심장쇠약 심장쇠약 식이요법 [좋은 식품] 표고버섯, 산조인(대추씨), 감초, 질경이(차전초), 구기자, 다시마, 연, 맨드라미, 오이 [ 증세 ] 심계항진, 피로, 순환기, 심장통 등으로 타의 감각에 영향을 받아 기질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신경 증세로, 심하면 불안 상태 속에서 얼굴 등이 붉게 달아오르거나, 발한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 처방 ] 1. 산조인과 감초를 각각 10:1의 비율로 가루를 만들어 3g을 매일 두 번씩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2. 질경이(차전초) 50g에 물 4홉으로 달여서 1~2주일을 차처럼 마시면 효과가 좋다. 3. 구기자의 생잎을 먹거나 구기자차를 장기 복용하면 효험이 있다. 4. 다시마를 1회에 1근씩 달여서 장기간 차처럼 마시면 특효가 있다. 5. 맨드라미의 줄기, 뿌리, 잎을..
식이요법 : 신장염 신장염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으름덩굴, 구기자 잎, 감자, 양파, 맨드라미, 무, 피마자, 오이, 수박, 마늘, [ 증세 ] 신장에 염증이 생기는 것인데, 급성과 만성 및 위축신의 세 가지가 있다. 급성 신장염은 허리가 아프던가 피로해지며, 목이 마르고 식욕이 없고, 주로 아침에 일어나면 눈덩이 부어 있는 경우 및 소변량이 급격히 줄고, 혈이 나오는 수도 있으며 부종(몸이 붓는 증세)이 가끔 있다. 그런데 만성 신장염은 그 증세가 서서히 나타나므로 자신이 빨리 발견할 수는 없지만 초기에는 몸이 부어오르는 경우로만 알 수 있다. 심해지면 혈압이 오르거나 안색이 나쁘며 숨이 가빠지고 밤중에 소변을 자주 하게 된다. 그리고 위축신은 소변량이 평소보다 많이 배출되게 하는 증세이다. [ 처방 ] 1. 목통(으름..
식이요법 : 신경통 신경통 식이요법 [좋은 식품] 월계수 잎, 율무, 구기자, 연의 연밥, 땅두릅, 인동, 쑥 [ 증세 ] 증세는 여러 가지 있지만 특히 복통으로 그 통증이 엉덩이로부터 넓적다리 뒤쪽으로 하여 무릎 아래까지 저리며 한쪽의 통증이 더 심한 경우도 있다. [ 처방 ] 1. 월계수 잎에서 짜낸 월계유를 통증이 있는 주위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2. 율무와 구기자를 넣고 달여서 차 대신 장기간 복용한다. 3. 오가피의 노근을 껍질을 벗기고 말린 다음 1일 2근씩을 달여서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4. 연밥(벌집처럼 생긴 연밥 속의 열매)을 1회 5~10g씩 물 2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매일 2~3회 식전으로 2~3주일을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5. 인동 풀을 풀어 넣고 목욕을 하면 효과가 있다. 6. 두릅의 ..
식이요법 : 신경쇠약 신경쇠약 식이요법 [좋은 식품] 대추씨, 매실, 연 잎사귀, 연 열매 [ 증세 ] 피로로 인한 자극성 쇠약 질환으로, 신경계의 격변과 발작으로 인해 매사를 비관하기 쉽고 일에 끈기가 없어져 권태나 피로가 빨리 오며, 기억력 감퇴 및 불면증에 걸리기 쉽다. [ 처방 ] 1. 대추씨(산조인)에 약간의 감초를 넣어 서서히 달여서 1일 2회 장기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2.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어 넓은 그릇에 담아서 햇볕이나 열로 수분을 증발시키면 매실진액이 되는데, 신경성으로 오는 쇠약 증세일 때는 콩알만 하게 환을 지은 진액을 물로 매일 3회로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연 잎사귀 말린 것을 1회 50g, 물 3홉으로 반이 되게 달여서 1주일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4. 거피 낸 연의 열..
식이요법 : 산후통증 산후통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유자껍질, 메밀, 잉어, 쑥, 뽕나무, 귤, 대추, 마늘, 호박, 염소 [ 증세 ] 전반적으로 해산 후의 조섭을 말한다. [ 처방 ] 1. 유자 껍질을 달여서 1~2컵 마시면 즉효가 있으며, 특히 복통에 좋다. 2. 메밀을 볶아서 분말로 만들어 한 숟갈씩 따뜻한 물 한 컵과 마시면 즉효가 있다. 3. 잉어를 푹 삶아서 따뜻할 때 한 마리 정도 먹으면 특효가 있다. 특히 복통에 좋으며 젖이 잘 나온다. 4. 방을 덥게 하고 쑥잎과 뽕 잎사귀를 자리에 깔아놓은 다음 그 위에 누워서 땀을 푹 내면 즉효가 있다. 특히 팔, 다리가 마비되어 자유롭지 못할 때 좋다. 5. 대추(묵은 대추) 2홉을 푹 달여서 1~2회 마시면 특효가 있다. 특히 산후에 허리가 뻐근한 통증이 있을 때 효..
식이요법 : 습진 습진 식이요법 [좋은 식품] 봉선화 잎, 생강, 굴, 쑥잎, 감 [ 증세 ] 피부병의 일종으로 주로 유해 화장품, 옻을 타는 것 등이 원인인데 빨간 반점이 생기거나 가려운 것이 특징이다. 심해지면 물집이 터져 진물이 나고 마르면 자연히 떨어지는데, 만성습진은 딱지가 떨어져도 다시 되풀이된다. [ 처방 ] 1. 봉선화 잎을 찧어서 즙을 내어 종종 발라주면 특효가 있다. 2. 생강을 엷게 썰어서 붙여주면 낫는다. 3. 꿀을 물에 진하게 타서 3~4회만 발라 주면 낫는다. 4. 쑥잎 줄기와 고추를 태워 가루로 만들어 참기름으로 개어 3~4회 바르면 특효가 있다. 5. 감 생것을 엷게 썰어서 3~4회 붙이면 특효가 있다. * 물질을 많이 하는 주부들은 습진에 걸리기 쉬운데, 이때는 오배자 한 줌에 물을 충분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