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식이요법 :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산모의 젖이 부족할 때 식이요법 [좋은 식품] 다시마, 밤, 대추, 콩(검은콩), 은행, 팥, 상치, 호박, 민들레, 전복, 대구, 수세미, 완두 [ 증세 ] 전반적으로 아이를 낳은 어머니의 젖이 부족한 경우를 일컫는다. [ 처방 ] 1. 다시마, 계란, 된장을 적당히 넣어 찹쌀죽을 만들어 먹으면 젖이 잘 나오며 보양에도 좋다. 2. 팥과 현미로 팥죽을 만들어 1주일쯤 먹으면 특효가 있다. 3. 완두콩을 삶든지 볶아서 2~3 숟갈씩 먹으면 젖이 잘 나온다. 4. 밤 1 공기, 대추 1 공기, 팥과 검은콩 1 공기와 찹쌀 2~3홉으로 밥을 지어서 1일 3회로 나누어 먹으면 효과가 좋다. 보약도 되고 산후 원기에도 좋다. 5. 호박씨 1홉을 볶아서 수시로 까먹으면 효과가 좋다. 6. 상추 3~4포기를 찧어 ..
식이요법 : 숙취 숙취 식이요법 * 숙취가 심한 경우에는 녹두죽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방법은 300g 정도의 녹두에 물 1g을 넣고 끓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칡즙을 마시면 대개 술이 깬다. 그래도 술이 덜 깨 머리가 상쾌하지 않으면 3~4잔을 계속해서 마시도록 한다. * 음주후 속과 정신을 맑게 하기 위해 오이를 사용하면 좋다. 오이즙은 무기 염료질이 들어 있어 알코올을 중화시키고 소화기에 들어가서 완화 작용을 하므로 음주 후 마시면 속이 시원하고 편해진다. * 맥주를 마시고 취했을때는 대나무 잎을 끓여 마시면 취기를 풀 수있다. 방법은 대잎 12장 정도에 물 3컵을 넣고 끓인 뒤 물이 반 정도로 줄면 반잔을 따라 마신다. 3번 정도 복용하면 효과가 나타난다. * 생쌀 큰수저 2술 정도를 약 30분 정도 불려서..
식이요법 : 빈혈증 빈혈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깨, 대추씨(산조인), 매실, 싸리, 오가피(땅두릅) [ 증세 ] 피가 부족한 현상으로 나른하고 어지럽다. 앉았다가 일어나면 현기증이 오고 귀가 울리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숨이 차다. [ 처방 ] 1. 검정깨 6:4의 비율로, 현미와 밥을 지어서 먹거나, 깨소금으로 만들어 생야채에 뿌려서 먹으면 효과가 있다. 2. 대추씨(산조인)에 약간의 감초를 넣어 서서히 달여서 매일 조석으로 장기 복용하면 특효가 있다. 3. 매실 풋것을 강판에 갈아 짜낸 즙을 넓은 그릇에 담아 햇볕이나 열로 수분을 증발시키면 매실진액이 되는데,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나른하며 일어서면 쓰러지는 듯한 증세가 있을 때 콩알만 한 환을 지은 진액을 물로 매일 3회로 장기 복용하면 예방에도 좋으며 특효가 있다...
식이요법 : 소화불량증 소화불량증 식이요법 [좋은 식품] 감자, 민들레, 노학초, 무, 마늘주 [ 증세 ] 대기 불안, 초조, 불쾌감 등의 감정에 의한 심리 작용의 영향으로 또는 대장담낭, 당뇨, 맹장염, 신장결석 등의 내장 기관의 질병으로 일어난다. 또한 과식이나 편식에서 오는 경우도 있는데 신체에 이상을 초래케 되므로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 처방 ] 1. 감자 1개를 잘 씻어 강판에 갈아서 삼베 헝겊으로 즙을 짜내어 탕관에 서서히 달여서 찻숟갈 하나 정도를 보리차 물에 타서 소아에게 먹이면 특효가 있다. 이는 젖먹이의 소화불량 처방이므로 유의토록 한다. 2. 노학초의 잎과 꽃을 졸여서 찻숟갈로 1~2개 소아기의 젖먹이 어린이에게 먹이면 즉효가 있다. 3. 노학초 30g을 물 1l에 달여서 천으로 걸러서 마시면 성인의 소..
식이요법 : 소아의 경기 소아의 경기 식이요법 [좋은 식품] 얼음 베개, 얼음주머니, 오리의 혀, 범의귀 [ 증세] 눈을 치뜨며 이를 다물고서 주먹을 쥐고 떨거나, 아래 위로 움직이거나 하며 얼굴과 입술의 색깔은 보라색으로 변한다. 맥박은 가늘고 일정치 않으며 비교적 늦게 뛸 뿐 아니라 숨쉬기가 고르지 못하다. [ 처방 ] 1. 열이 높은 환자에겐 빙침, 빙상으로 머리를 식히는 것은 중대한 일이라 하겠다. 2. 경풍이 일어날 때 제일 먼저 허리띠를 풀고 가슴을 열어 숨쉬기 편리하도록 한다. 3. 숨이 막힐 때는 젖은 손수건으로 앞가슴 부분을 가볍게 두들기면 다시 숨을 쉬게 될 때도 있다. 만일 숨을 쉬지 않을 때는 인공호흡을 실시해야 한다. 4. 경풍이 일어날 때 환자의 목덜미 옴팍한 곳을 세게 누르면 낫게 된다. 이곳은 목덜미..
식이요법 : 비염 비염 식이요법 [좋은 식품] 보리차, 대추, 아주까리, 곶감, 연뿌리, 차전초, 감초 [ 증세 ] 주로 감기로 인하여 세균이 코 점막에 들어가 염증을 일으켜 짙은 분비물이 흐르고, 코가 막히며 재채기와 함께 콧물이 자주 흐르게 된다. 만성 비후성은 위축성이 있다. 특히 머리가 아프고 기억이 혼돈되며, 호흡이 곤란해지고 잠을 잘 때는 코를 잘 골게 된다. [ 처방 ] 1. 평소에 보리차 물을 따끈하게 하여 차 대신 마시듯 하면 매우 이롭다. 2. 대추씨(산조인)와 약간의 감초를 넣고 졸여서 가끔 마시면 효과가 좋다. 특히 코가 막힐 때도 특효가 있다. 3. 아주까리를 거피 내고 찧어서 솜에 잘 싸서 콧속에 넣어 3~4분 정도씩 가끔 갈아 주면 효과가 좋다. 4. 곶감 5개를 현미 1홉으로 죽을 만들어 먹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