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32

반응형
식이요법 : 만성 관절 류마티스 만성 관절 류마티스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약물요법과 스트레스 해소를 함께 실천하면서 전신의 영양상태가 양호해지도록 식생활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1) 급성기, 만성기 모두 균형잡힌 식이요법을 실천해야 한다. 2)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결합조직의 주성분이 되므로 중요한 영양소이다. 3) 각종 비타민, 미네랄을 공급해준다 격심한 통증을 진정시키는 치료법이 스테로이드 호르몬 요법인데, 비타민C를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이 스테로이드 호르몬 분비를 왕성하게 한다. 4) 비만인 사람은 관절통을 악화시키므로 저에너지식을 한다. 5) 합병증으로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철분과 칼슘을 충분히 섭취한다. 철분흡수가 잘 되는 육류, 어류 등 동물성 식품이 좋다. 6) 염증을 억제하는 불포..
식이요법 : 레이노 증후군 레이노 증후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원인이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차갑고 냉한 환경, 감정의 급변 등을 피하여 점차 부자유스러운 생활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궤양이나 궤사 등 고도의 피부 증상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외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1) 식사는 자극성 식품을 삼가도록 한다. 2) 혈압을 상승시키지 않도록 염분 섭취를 삼간다. 3) 몸과 수족을 한냉한 환경에 노출시키지 말고 체온을 보온하도록 한다. 동절기나 하절기에 냉수로 일을 할 경우를 피하고, 수족을 보온하며 감정의 급변을 피하여 발작을 억제할 수 있다. 4) 수족의 외상은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5) 흡연은 금하도록 한다. 6) 예방책으로는 한냉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식이요법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는 자신의 생활을 분석하고, 몇 가지 위험인자를 찾아내어 하나씩 제거하기 위한 식이요법을 실천하는 것이다. 1) 저에너식을 기본으로 한다. 동맥경화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당뇨병, 통풍 등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 평소 식사 섭취량을 80% 정도에서 만족하도록 한다. 비만증이 합병한 경우는 열량을 적극적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남성은 1400~1800Kcal, 여성은 1200~1600Kcal 정도로 열량을 제한한다. 비만이 아닌 경우는 남성 1800~2200Kcal, 여성은 1600~2000Kcal 정도 2) 염분 섭취를 제한한다. 동맥경화의 주된 요인인 고혈압을 억제하기 위해 염분을 하루에 10g 이하로 제한한다. 음식 조리시에 간을..
식이요법 : 대장염 대장염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대장염은 식사에 주의하지 않으면 다시 악화되기 쉬우므로 대장염 환자는 식이요법을 준수해야 한다. 1) 1주일간 단식하면서 보리차 등을 마시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후 자연식품을 섭취한다. 2) 처음에 물이나 음료 등 수분을 공급하다가 점차, 영양공급을 위해 야채, 과일즙을 섭취한다. 3) 증상이 심할 때는 주식도 유동식이나 미음식으로 하고 증상이 경감되면서 밥을 먹는다. 4)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 중요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된 식품을 되도록 섭취한다. 설사가 계속되어 영양분 손실이 크므로, 이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5)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치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대장점막에 자극을 주지 않고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함. 6) 설사를 경감시키기 위해, 대장 점막을 ..
식이요법 : 당뇨병 당뇨병 식이요법 (1) 기본수칙 당뇨병을 치료하거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물요법 외에 식이요법을 꾸준히 계속함으로써 정상인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다. 1) 식사량을 제한하되 편식을 하지 않으면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균형있게 섭취한다. 탄수화물(55~60%) 1일 150~300g, 단백질(1~1.5g/kg 체중)에서 섭취한 열량을 뺀 나머지 열량을 지방(20~25%)에서 섭취한다. 섬유소는 1일 40g까지 섭취한다. 단백질의 반 이상은 동물성으로 섭취한다. 2) 항상 표준체중을 유지하도록 적절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표준체중 = (신장-100) x 0.9 총열량 = 표준체중 x 25 1일 식사량 = 1,000Kcal + 연령 + 100Kcal 1일 총에너지량은 성별, 연령, 병상, 신체활동,..
식이요법 : 담석증 담석증 식이요법 (1) 식이요법 기본수칙 한번 생긴 담석을 식이요법으로 용해시키거나 제거할 수는 없으며, 담석을 예방하거나, 동통 발작을 일으키지 않거나,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데 식이요법의 목적이 있다. 1) 급성기에는 지방을 엄격하게 제한한다. 특히 비만인 사람은 지방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기름기 있는 음식을 금하며, 육류나, 어패류도 지방 함유량이 적은 것을 섭취한다. 급성기 증상이 사라지면 지방은 삼가는 정도로 하여, 식물류는 하루에 큰 숟가락 하나 이하를 사용한다. 2) 황달이 있으면 지방은 10g, 증상이 없어져도 30g 이내로 제한한다. 3)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폭음, 폭식, 자극성 식품은 삼간다. 4) 회복기에 들어서도 처음에는 기름기 있는 음식을 일체 금한다. 자각 증상이 없어지고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