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요법 :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과민성 대장 증후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1) 설사형인 경우는 장관을 자극하는 식물섬유 식품을 제한하고, 변비형인 경우는 반대로 통변을 위해 이들의 제한을 완화한다. 단, 과식하면 장관을 자극하게 되어 복통의 원인이 됨. 2) 증상이 심한 경우는 입원하여 금식 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3) 스트레스도 유발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고, 특히 직장이나 가정에서의 정신적인 긴장, 트러블이 있으면, 그것을 제거하도록 한 다. 4)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지나치게 뜨겁거나 찬 음식은 피한다. 5) 장관을 자극할만한 음식, 음료를 금하고, 향신료도 제한하면서 사용한다. 6) 익힌 야채류 등 부드러운 섬유류는 적극 섭취하는 것이 좋다. 7) 자극성 음식을 피하고, 가스가 많은 사람은 콩류, ..
식이요법 :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갑상선 기능항진증인 경우는 기초대사량이 항진되기 때문에 평소보다 많은 양을 섭취해도 계속 체중이 감소하게 되므로, 모든 영양소의 필요량이 증가한다. 1) 에너지소비량이 증대되므로 거기에 적합한 양만큼 섭취 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식사는 극소열량식을 하는데 최고 열량의 한계는 없고, 최저 열량은 3000kcal임. 2) 단백질, 수용성비타민, 비타민 A의 필요량이 증대되므로 이들 영양소가 함유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한다. 비타민 B1, B2, B6, C, A, B12, E 등은 반드시 보충할 필요가 있다. 3) 열량보충을 위해서, 탄수화물과 지방을 다량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갑상선 호르몬의 분비를 자극하는 카페인 음료, 알코올, 담배를 금해야 한다. 5)..
식이요법 : 감기
감기 식이요법 (1) 기본수칙 감기가 심하면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안정을 취하고, 몸을 따뜻하게 해 주면서 영양공급을 해야 한다. 1)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감기에 걸리면 체온이 상승하는 만큼 에너지 소비량이 늘어나므로, 입에 맞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충분히 보충하도록 한 다. 2)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이들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 열이 날때는 간장의 글리코겐이 에너지원으로 소모되고, 단백질, 지방이 분해되며, 비타민 (A, B1, C), 나트륨 등의 소비량도 늘어나므로 이들을 충분히 보충해 주어야 한다. 3) 감기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유동식, 미음식을 주어, 영양분을 적극 공급해 주도록 한다. 4) 열이나..